할머니를 처음 만났을 때는 말씀도 잘 하시고 반갑게 맞아주셔서 어려움이 많지 않은 분이라고만 생각했었다. 그런데 마주 보고 앉아서 얘기를 하고 주변 환경을 잘 살펴보니 당뇨, 천식, 관절염, 골다공증과 같이 만성질환으로 치료 받고 계셨고 평발이어서 걷기도 힘들어하셨다. 또 몸이 불편하셔서 그런지 집안에 물건이 정리되지 않은 채로 쌓여있었고 주방에서는 냄새도 났다. 얘기하면서 이 분의 가장 큰 문제점이 드러났는데, 바로 가족의 부재와 타인과의 접촉이 적은 데에서 오는 외로움이었다. 대화를 나누는 내내 내 손을 잡으시며, “얘기해서 참 좋아.”, “맨날 혼자 누워있어.” 라고 말씀하시며 외롭다고 하셨다. 가족 관계를 여쭤봤을 때, 남편과는 일찍 사별했고 자녀도 없어서 집에 찾아오는 가족도 없고, 도와줄 가족도 없다고 하셨다. 너무 안타까워서 단지 앞에 있는 경로당이나 이웃과 만나 대화 나누는 걸 권해드렸는데, 자기와 맞지 않는 사람들이라며 만나고 싶지 않다고 하셨다. 할머니를 지지해 줄 마땅한 사람도 없고, 집에도 찾아오는 사람 없이 누워만 계신다는 말씀이 너무 안타까웠고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드리고 싶었다. 할머니와의 만남을 마치고 보건소로 돌아 가는 길에 생각해보니 현재 우리 사회가 옛날과는 달리 공동체가 아닌 개인주의화 되어 가고 있고, 독거노인이 늘어나는 고령 사회로 접어들고 있는데 이 할머니처럼 외롭게 늙어가는 분들이 생각보다 훨씬 많을 거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 문제가 심각한 것 같았다. 이런 분들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 프로그램이 더 많이 개설되어 홍보를 통한 운영/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방문실습이었다.
<중 략>
(5) 실습기관에서 실시하는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기술한다.
1. 문제점
• 대상자를 관리하는 방문 간호사선생님의 수가 충분하지 않아서 질 높은 방문간호를 제공할 수 없다. (방문간호가 제공되는 횟수나 시간이 짧고 전화 상담을 하는 경우가 많음)
• 대부분의 대상자들이 이해력과 기억력이 좋지 않은 노인인데 말로만 꾸준한 약물 복용의 중요성, 혈압 관리 등을 설명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