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세종대왕 [비로소]
ㄱ. 농사직설과 측우기
ㄴ. 향약집성방
ㄷ. 갑인자와 한글 활자
ㄹ. 정간보의 창안
2. 세종 시대 [더불어]
ㄱ. 세종의 한글 창제 이유
ㄴ. 세종의 한글 창제 원리
3. 세종 정신 [누리다]
ㄱ. 한글 반포의 반포 행사
ㄴ. 한글의 반포와 반포문
ㄷ. 세종대왕 이후 반포 사업
본문내용
세종대왕
•生-死 1397.4.10(음력) ~ 1450.2.17(음력)
• 세종의 성은 전주 이씨(全州李氏), 이름은 도(裪)이며 본명은 이도(李祹) 이다.
• 태종(太宗)과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 閔氏)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 태종 18년(1418) 음력 8월 22세의 나이에 태종으로부터 왕위를 양위 받아 즉위하였다.
• 정치·경제·국방·문화 등 다방면에 훌륭한 치적을 쌓아 수준 높은 민족문화의 창달과 조선 왕조의 기틀을 튼튼히 하였다.
“나라는 백성으로 근본을 삼고, 백성은 먹는 것으로 으뜸을 사는데, 농사는 먹는 것의 근원으로서 왕의 정치에서 가장 먼저 힘써야 할 것이다.”
-세종대왕
농사직설과 측우기
• 농사직설 : 1429년 세종대왕의 명으로 편찬한 농사 방법에 관한 책
• 세종대왕은 우리 풍토에 맞는 농법을 소개하였다.
• 첫 농업 서적으로, 지방 권농판의 지침서로 삼았
을 뿐만 아니라, 그 뒤 간행되는 여러 가지 농서의 지표가 되었다.
참고 자료
이하상, 『기후에 대한 조선의 도전, 측우기』, 교보문고, 2014.
김무봉, 「조선 전기 언해 사업의 현황과 사회 문화적 의의」,『한국어문학연구』제58집, 한국어문학연구학회, 2012.
송방송, 「세종대왕의 음악 업적에 대한 역사적 재조명-21세기를 앞두고-」,『세종학연구』제12·13집,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98.
김영명, 「한글 창제의 목적과 정치적 의미」,『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제12(1)집,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3.
이상규, 「《세종실록》분석을 통한 한글 창제 과정의 재검토」,『한민족어문학』, 한민족어문학회, 2013.
권재선, 「한글 반포에 대한 고찰」,『어문학』제64집, 한국어문학회, 1998.
한국사사전편찬회,『한국 고중세사 사전』, 가람기획, 1995.
김슬옹,『세종대왕과 훈민정음학』, 지식산업사, 2010.
김슬옹,『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아이세움, 2007.
김상태, 「『農事直說』의 편찬과 보급에 대한 재검토」,『한국민족문화』제36집,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박종국, 「세종대왕의 생애와 인간상」,『나라사랑』제94집, 외솔회,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