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방의 구조
2. 유방의 기능
3. 유방암이란?
4. 위험인자
5. 유방암의 발생위치
6. 분류
7. 병태생리
8. 임상증상
9. 진단검사
10. 자가검진법
11. 유방암의 병기
12. 유방암의 생존율
13. 유방암의 치료
14. 수술의 종류
15. 유방절제술후 재건술
16. 림프부종
17. 유방암 검진
18. 유방암 예방법
Reference
본문내용
1. 유방의 구조
- 유방은 15-20개의 유엽 (乳葉)이라 불리는 작은 조직으로 구성되어있고, 각각의 엽은 젖을 만드는 여러 개의 소엽으로 이루어짐. 소엽에서 만들어진 젖은 유관이라고 불리는 작은 유관(乳管)을 통해 유두로 배출. 근육은 유방 하부에 위치하여 늑골을 감싸고 있으며 이런 근육을 대흉근이라고 함
2. 유방의 기능
○ 유방의 주요 기능은 출산 후 수유의 기능을 담당하여 아기에게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을 공급하는 역할
○ 유방 기능의 주요 역할을 하는 젖샘 발달을 돕기 위하여 우리 인체의 내분비샘의 호르몬 중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은 뇌하수체의 성장호르몬과 프로락틴, 그리고 코티코트로핀 호르몬과 함께 공동으로 작용하며 이들 호르몬의 분비 및 활동 여부가 유방암과 관련
3. 유방암이란?
○ 유방암은 전형적으로 유방의 관엽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액와 림프결절로 림프계를 거쳐 퍼져가는 악성종양
○ 유방에 있는 많은 종류의 세포 중 어느 것이라도 암이 될 수 있으므로 유방암의 종류는 매우 많다고 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유방암이 유관과 유엽에 있는 세포, 그 중에서도 유관세포에서 기원하므로 일반적으로 유방암이라 하면 유관과 유엽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한 암을 말함
4. 위험인자
○ BRCA. BRCA2 유전자 - 유병율 80%
○ 유방암의 가족력
○ 방사선 노출
○ 45세 이상의 폐경기 전 여성
○ 비만
○ 생리를 일찍 시작했거나 폐경이 늦은 경우
○ 아이를 갖지 않은 여성
○ 35세 이후에 첫 임신을 한 경우
○ 고지방 식이
○ 자궁 내막암 혹은 난소암
○ 에스트로겐 치료
○ 알코올 중독
○ 양성 유방 질환
5. 유방암의 발생위치
○ 대부분의 유관이 상부외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유방암은 유방의 상부외측에 가장 많이 발생(50%)
○ 하부내측은 유방 조직이 가장 적기 때문에 유방암의 빈도가 가장 낮음(6%).
6. 분류
- 근원조직과 위치에 의한 분류
○ 엽상피내암
○ 도관상피내암
○ 1%미만의 유방암은 상피세포가 아닌 결체조직에서 시작
참고자료
· 성인간호학.김분한 외.정담미디어.2004
· 쉽게 배우는 병태생리학.박지원 외.군자출판사.2004
· 국립암센터
· www.medlib.med.utah.edu
· www.naver.com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