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윤리학 개론
- 최초 등록일
- 2018.10.05
- 최종 저작일
- 2018.10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부. 기독교윤리학의 이론적 기초
2부. 기독교윤리사상의 역사
3부. 기독교 윤리학의 사회적 실천
본문내용
기독교윤리학의 의미는 인간으로서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의 행위를 하나님과 그의 창조세계와 관련하여 규정되어져야 하는 것이다. 기독교윤리가 하나님과 그의 창조세계와 관련하여 인간의 도덕적 행위와 삶을 규정하는 탐구라고 한다면, 성서와 그리스도인 공동체로서 교회, 그리고 사회와 인간의 경험 세계는 기독교윤리학의 근거 자료로서의 의미를 갖게 될 것이다. 그리고 도덕적으로 선/악, 옳고/그름을 판별하는데 유용하며, 다 나아가 안락사, 낙태, 뇌사, 동물권, 성차별, 인종차별, 생태 등의 다양한 현실 주제에 관한 실천윤리의 문제들까지 범위가 넓어졌다. 윤리학은 도덕적 문제들에 획일적이고 명쾌한 답을 주지는 못하지만, 그런 문제들이 알기 쉽게 논의 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해 주기도 한다.
기독교윤리의 판단 요소와 관련된 이론들에 있어 가장 기초적인 작업은 신앙공동체의 역할을 다루고, 본문과 맥락의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관계를 제공하는 성경해석이다. 이에 다양성과 특수성, 그리고 해석자의 역할이 부각되는 포스트모던에서 신앙공공동체를 기독교윤리와 신학을 형성하는 중요한 매체로 본다. 핀녹, 팩터, 스피틀러는 신학에 있어 성서는 다른 근거 자료와 비교할 수 없는 절대적인 우선권을 갖는다고 믿는다. 요더, 데이톤, 더너스는 신학에 성서를 이용하는데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웰즈와 홱커는 성서해석에 맥락을 연결하려고 시도한다. 맥크랜돈의 기독교윤리의 삼 영역 이론은 각 영역을 통하여 기본적인 윤리의 기초를 제공해 준다. 스타슨은 사랑과 정의의 실현이 되는 “두 가지 원리”와 “세 가지 권리”를 찾아낸다. 이러한 원리들은 한계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더 구체적이고 사회의 변화에 따라 수정이 되어야 한다.
전승과 경험, 이성과 정서, 교회적 신학과 공적 신학, 정론과 정행, 아나바스의 신학과 카타바스의 신학, 과학과 문화적 상황에 대한 강조, 기독교의 정체성과 성경의 규범성 강조 등의 모든 문제들이 잘 어우러진 신학을 추구하는 것이 21세기 신학의 과제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