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일반적 사항
2. 현병력
3. 과거병력(Past history)
4. 질병기술
5. 입원전 복용약물
6. 신체검진
7. 임상소견-임상검사
8. 특수치료 및 검사
9. 간호과정
10. 참고문헌
11. 욕창발생 위험요인 사정도구 - Braden Scale
12. 신경외과 실습 Check List
13. 성인간호학 실습 3 자가 평가지
14. 환자교육 및 의사소통 보고서
본문내용
4) 질병기술: 원인, 병리, 증상, 진단, 치료 등 자세하게 기록하기
○ 뇌출혈
뇌출혈이란 두개 내에 출혈이 있어 생기는 모든 변화를 말하는 것으로 출혈성 뇌졸중이라고도 한다.
뇌출혈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크게 외상에 의한 출혈과 자발성 출혈로 구분할 수 있다.
외상에 의한 출혈은 급성 경막하 출혈, 만성 경막하 출혈, 경막외 출혈 등 두부 외상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출혈을 말한다.
자발성 뇌출혈이란 다음과 같은 질환 중에 뇌출혈을 일으킨 것을 말한다.
- 고혈압성 뇌출혈
- 뇌동맥류
- 뇌동정맥 기형
- 모야모야병
- 뇌종양 출혈
- 전신 질환 가운데 출혈성 경향이 있는 경우
외상에 의한 출혈에는 두개골 내면과 경막(dura) 사이 어느 위치에서 출혈이 생기는지와 언제 생기는지를 기준으로 급성 경막하 출혈, 만성 경막하 출혈, 경막외 출혈로 구분할 수 있다.
<중 략>
10) 간호과정
(1) 간호진단목록(발견된 간호진단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할 것)
날짜/ 번호/ 간호진단
10/30
1
경추 손상과 그에 따른 감각지각 장애로 인한 낙상 위험성
10/30
2
항응고제 복용과 관련한 지식부족
10/30
3
경막하 출혈로 인한 조직관류 저하 위험성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경추 손상과 그에 따른 감각지각 장애로 인한 낙상 위험성
- 주관적 자료: “자는 동안에도 손 저리고 감각도 없고 그래요.”
“왼팔은 이거밖에 못 움직여 쥐었다 피는 것도 잘 안돼요”
“왼쪽팔에 지지대 같은거 하고 있으니까 불편해요”
“왼팔을 쓰지 못하니까 움직이는데 아무래도 불편하죠?”
- 객관적 자료: ⦁X-ray 상 경추 5번 6번의 골절이 보인다.
⦁식사를 할 때 간병인의 도움을 받는 모습이 관찰됨
⦁왼손을 주무르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 환측의 근력 단계는 3단계에 해당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