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문헌고찰
1)정의 1
2)원인·병태생리 1
3)증상 2
4)진단 2
5)치료 2
6)간호 3
7)예후 4
8)예방법 4
Ⅱ. 본 론
1. 간호사정
1)대상자 정보 5
(1)출생력 5
(2)아프가 스코어 5
(3)가계도 6
(4)현병력 6
2)신체사정 7
3)질환관련 사정자료 9
(1)진단검사 9
①X-ray 9
②Blood 10
③Urine 14
④EKG 15
(2)투약 16
2. 간호과정
1)간호진단 우선순위 18
2)간호과정 18
Ⅲ. 결론
1.보건교육안 24
2.느낀점
본문내용
1. 문헌고찰
1)정의
신생아 무호흡은 미숙아임에 동시에 20초 이상의 설명되지 않는 호흡정지나 더 짧은 기간 동안의 호흡정지이다. 무호흡, 청색증, 창백, 서맥 또는 현저한 근육 저 긴장 징후가 동반된다.
[홍경자외,『아동간호학Ⅰ』,수문사,2002년]
2)원인·병태생리
무호흡의 원인으로 중추성 무호흡, 폐쇄성 무호흡, 혼합 무호흡, 기간별 무호흡으로 나눌 수 있다.
(1)중추성 무호흡-횡경막 및 다른 근육의 기능 부재로 호흡하지 않는 것
(2)폐쇄성 무호흡-흉곽이나 복부는 움직이나 공기 유통이 되지 않는 것
(3)혼합 무호흡-중추 무호흡과 폐쇄성 무호흡이 함께 나타나는 것
(4)기간별 무호흡-20초 정도의 정상적인 호흡 후에 10초 미만의 무호흡 상태를 보이며 이러한 증상이 연달아 세 번 이상 나타나는 것
이러한 원인등으로 의해 호흡기계 부전이 일어나 저산소증이 발생한다. 저산소증이 증가함에 따라 CO2에 반응하는 환기는 감소된다. 초기에는 호흡 노력의 증가, 이어서 주기성 호흡, 그리고 결국에는 호흡부전과 무호흡으로 반응한다.
이러한 원이 이외에 알려진 원인 없이 무호흡을 경험하는 영아들은 영아돌연사 증후군(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무호흡과 영아돌연사 증후군은 병리적 결과가 지속되는 만성 저산소증으로 인해 조직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서로 연관되어 있다.
[김미예외, 『아동간호학 총론』, 수문사, 1996년]
3)증상
증상으로는 무호흡, 청색증, 창백, 서맥, 현저한 근육 저 긴장 등이 나타남.
[홍경자외,『아동간호학Ⅰ』,수문사,2002년]
4)진단
(1)chest X-ray
정상적인 폐와 폐 주위구조를 보임. 흉곽 X-선 검사는 폐와 심장의 중요한 검사이다.
혈액검사
혈액검사들은 여러 가지 신체장애를 사정 하는데 사용된다.
참고 자료
홍경자·문영임·백승남·안채순·이군자·임혜경·조경미·유경희·남은숙·탁영란·안혜영·성미혜 외, 『아동간호학Ⅰ』, 수문사, 2002년
김미예·김수옥·김태임·신순식·정경애·조갑출·권인수·김은경·송인숙·안영미·정승은·최미혜, 『아동간호학 총론』, 수문사, 1996년
조결자·송지호·유일영·박인숙·박은숙·김미원·김희순·신희선 외, 『아동간호학Ⅱ』, 현문사, 2005년
김혜영·권봉순·남혜경·오상은·이영은·이지원·임효숙·정향미·조인숙·주현옥 외,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06년
김금자·차영남·장효순·한혜실·정정숙·윤 진·공은숙·정여숙·황성자·양복순·심정하·형희경·이정옥,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2012년
송미순·김달숙·최소미·전명희·허명행, 『진단적 검사와 간호』, 현문사, 2002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