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만들기 연구동향 분석하기
- 최초 등록일
- 2018.09.27
- 최종 저작일
- 2017.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이론적 고찰
2-1. 선행연구 검토
2-1-1. ‘마을 만들기’에 관한 선행연구들
2-1-2. 연구동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
2-2. ‘마을 만들기’의 사회적 흐름
2-2-1. ‘마을 만들기’의 발전 과정
3. 분석의 틀
3-1. 분석대상 논문의 선정
3-2. 동향 분석
4. 분석결과
4.1. ‘마을 만들기’ 연구 동향
4.1.1. 마을 만들기 연구자 특성 및 게재학술지
4.1.2. 마을 만들기 연구의 내용·방법 및 연구주제
5. 논의 및 결론
5-1. ‘마을 만들기’ 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는가
5-2.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최근 마을만들기, 마을기업, 주민조직 등 많은 사람들과 단체에서 자기가 속한 지역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과 관심들을 지니고 있고 실질적으로 새로운 사업들을 만들어 지역 발전에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고 있는 과정에 있다.
이 연구는 ‘마을 만들기’의 주민과 행정 그리고 전문가, 시민단체, 중간지원 등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 속에 이루어진다. 특히, 여러 주체들 가운데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와 주도적인 역할이 강조된다. 마을 만들기를 연구했던 선행사례들을 종합해보면 주민과 다른 주체들 간의 서로 다른 목표와 이해관계를 어떻게 조정하고 협력할 것인지와 행정과 외부 참여자들에 대한 주민의 불신과 주민들 간의 불신을 어떻게 극복하면서 마을공동체를 형성할 것인지가 사업의 성패를 좌우했기 때문이다.
요즘 ‘마을 만들기’에 대한 관심은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또한 확산되고 ‘마을 만들기’에 관한 연구들 또한 크게 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을 만들기 연구들을 종합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거나 마을 만들기 연구들의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마을 만들기’ 관련 연구가 언제부터 시작되었고 어떻게 전개되어 현재에 이르게 되었는지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특히 ‘사람’에 중점을 둔 마을 만들기 연구들의 연구대상과 관점 및 연구방법 등을 심층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학술지인용색인(이하 ‘KCI’라 함) 등재 및 등재후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게재년도, 저자의 전공 및 직급, 게재된 학회지 등의 기본 정보를 비롯해 연구방법, 연구사례지역, 연구주제 등의 연구내용에 초점을 두어 ‘마을 만들기’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마을 만들기’ 연구 가운데 사람에 중점을 둔 연구들은 누구를 대상으로 하였는지, 그들의 어떠한 측면을 보았는지를 분석하였다.
참고 자료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http://www.seoulmaeul.org/ (2015.07.15.).
한국마을지원센터협의회 http://www.koreamaeul.org/ (2015.7.10.).
학술연구정보서비스 http://www.riss.kr/ (2015.5.10.).
정석 2010, “서울시 마을만들기 지원제도 연구”, 서울특별시.
이상훈 외 3인 2013, “마을만들기 추진과정의 성과 및 한계에 관한 연구”, p.137.
와타나베 순이치, 2004 “시민들이 참여하는 마을 만들기”, 목원대학교출판부.
오다해ㆍ김철영 2014, “마을만들기 사업에 있어서 참여주체의 특성에 관한 연구 : 주민참여기법을 중심으로”,
박지환 2014, “일본 도시하층지역 마을 만들기의 성립과 그 의의”, 국제지역연구,
김기영ㆍ김철영 2014, “마을만들기를 위한 주민참여워크샵에서 디자인게임의 활용 특성에 관한 연구”,
강순주ㆍ김진영ㆍ함선익 2012, “공동주택 커뮤니티 관련 연구들의 시대적 경향분석과 사회적 배경 요인들과의 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