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저임금제도의 정의
최저임금제도란 소위 저임금을 받는 근로자들이 노동시장에서 결정된 임금이 사회적으로 수용하기 어려울 만큼 낮은 수준일 경우, 정부가 법적인 장치를 마련하여 제도적으로 개입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시장임금보다 더 높은 수준의 임금을 지불하도록 하여 저임금근로자들이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제도이다.
현재 2018년 우리나라 최저임금은 7530원이며 2019년 최저임금은 8350원으로 확정된 상태이다.
2. 최저임금제의 도입배경
임금은 원래 노-사간의 근로계약 또는 단체협약에 의하여 자주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원칙이나, 근로계약의 당사자인 개별근로자와 사용자 간에는 대등한 교섭관계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임금결정을 근로계약에만 맡겨놓으면 근로자는 실질적으로 적정임금의 확보가 어렵게 된다. 또한 모든 사업장의 근로자들이 노동조합에 의하여 조직되어 있는 것도 아니므로 단체교섭을 통하여 임금이 결정되기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최저임금제도를 통한 국가의 강제에 의한 임금액의 보호는 노-사간에 실질적인 교섭 평등관계가 유지되고 있지 않은 사업장의 근로자들을 위해서는 절실히 요구된다. 이 제도는 자본주의가 독점단계에 들어선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성립되었다.
<중 략>
7. 결론 및 최저임금인상에 대한 나의견해
반대 측이 주장한 대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부작용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부작용이 항상 일어난다고 주장 할 수는 없으며, 또한 부작용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그 부작용이 미치는 범위는 최저임금 인상으로 인한 긍정적인 효과보다 더 적은 정도이다. 반대 측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은 소득계층 2~7분위 층이며, 소득계층 1분위 층에게는 그 긍정적인 효과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1분위계층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아주 없는 것은 아니며 1분위계층을 비롯한 2,3분위 계층에는 보다 더 많은 후생효과가 있다.
참고자료
· 권오형, 최저임금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경북대학교 행정학석사학위논문
· 한광수,최저임금제의의의와내용에대한고찰
· 전영준,근로장려 세제와 최저 임금제의 고용 및 후생증진 효과
· 김유선, 최저임금제 개선방향, 노동사회: 한국노동사회연구소
· 김유선, 최저임금의 고용효과, 노동저널: 한국노동조합총연맹
· 박정호, 최저임금제의 영향 연구, 서강대학교 경제학석사학위논문
· 양향명, 최저임금제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경영학석사학위논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