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입
우리는 매주 주일과 평일에 몇 번씩 예배를 행하고 있으면서도 막상 예배가 무엇인가 또는 예배를 왜하는가 혹은 어떻게 예배하는 것이 올바른 것인가를 그리스도인으로서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예배의 현장에 임한 사람은 자신이 무엇 때문에 그 자리에 와 있으며 어떠한 하나님을 위하여 거기 있는지를 반드시 알아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사람은 어떤 형태로든 어떤 대상에게 예배하며 삽니다. 그래서 인류가 이룩한 모든 문화는 종교적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모든 종교는 그 중심에 예배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문제는 예배의 대상을 잘못 붙잡고 있다는 것입니다. 기독교는 성경이 가르치는 하나님을 유일한 예배의 대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하나님께 예배 하는 것을 제일 중요한 과업이며 최우선적인 사명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윌리암 템플은 일찍이 “예배하는 것은 하나님의 거룩하심에 의해 양심을 각성시키는 것이며, 하나님의 진리로서 지성을 기르는 것이고 하나님의 아름다우심에 의해 상상력을 맑게 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사랑에 마음을 여는 것이고, 하나님의 목적에 뜻을 바치는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성공적인 예배 위해서는 예배에 대한 올바른 정의를 확립 하는 것으로 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서론
“예배”란 용어는 무슨 뜻을 지닐까요?
우리말에서 예배라는 용어는 예를 갖추어 절한다는 의미로 이해됩니다. 인간이 엎드리고 머리를 숙이며 절하는 행위는 존경과 순복의 표시입니다.
시편 기자는 ‘오라 우리가 굽혀 경배하며 우리를 지으신 여호와 앞에 무릎을 꿇자. 대저 저는 우리 하나님이시요 우리는 그의 기르시는 백성이며 그 손의 양이라’ 고 외쳤습니다.
하나님께 예배한다는 것은 하나님께 최상의 가치를 돌린다는 뜻 입니다. 즉 예배는 존경과 존귀를 받을 가치가 있으신 하나님께 그 가치에 합당한 분이심을 고백하며 선포하는 행위입니다. 그래서 시편 기자는 ‘여호와의 이름에 합당한 영광을 돌리며 거룩한 옷을 입고 여호와께 경배할 지어다’라고 성경은 말씀 합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