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내일을 위한 우화
2. 참아야 하는 이유
3. 죽음의 비술
4. 지표수와 지하수
5. 토양의 세계
6. 지구의 녹색 외투
7. 불필요한 파괴
8.새는 더 이상 노래하지 않고
9. 죽음의 강
10. 공중에서 무차별적으로
11. 보르자 가문의 꿈을 넘어서
12. 인간이 치러야 할 대가
13. 작은 창을 통해서
14. 네 명중 한 명
15. 자연의 반격
16. 밀려오는 비상사태
17. 가지 않은 길
18. 느낀 점
본문내용
1.내일을 위한 우화
이 장에서 레이첼카슨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미국 대륙 한가운데쯤 모든 생물체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는 마을을 보여주며 경각심을 일깨우고 있다.
하지만 “어느 날 낯선 병이 마을을 뒤덮어 버린 후 마을에는 변화가 찾아왔다. 닭들을 시작으로 소, 양 등 마을에 살던 수많은 생명체들이 병에 걸려 죽어갔으며, 마을 사람들 역시 남녀노소 가리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도 마을 사람들은 자취를 감춘 새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예전에는 그렇게도 멋진 풍경을 자랑하던 길가는 마치 불길이 휩쓸고 지나간 듯, 시들어가는 갈색 이파리만 나무에 매달려 있었다. 생물이란 생물은 모두 떠나버린 듯 너무나도 고요했다. 시냇물마저 생명력을 잃은 지 오래였다. 이렇듯 세상은 비탄에 잠겼다.”
그러나 “이 땅에 새로운 생명 탄생을 가로막은 것은 사악한 마술도, 악독한 적의 공격도 아니었다. 사람들이 스스로 저지른 일이었다.”
레이첼카슨은 이것을 “활기 넘치는 봄의 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이라고 표현하였다.
“이런 마을이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미국이나 세계 곳곳 어디에서든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지금 말한 것과 같은 엄청난 재앙을 한꺼번에 겪는 마을은 없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이런 각각의 재앙은 어디에선가 실제로 일어나고 있고, 상당수의 마을에서 이미 비슷한 일을 겪은바 있다”고 말한다.
수많은 마을에서 ‘활기 넘치는 봄의 소리’가 들리지 않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그 이유를 밝히기 위해 책을 쓴다고 밝히고 있다.
나 또한 아무생각 없이 책을 처음 넘기며 읽게 되었지만, 레이첼 카슨의 가상의 마을에 변화가 오는 모습을 상상해보며 책을 읽으니 그 상황이 얼마나 끔찍한 상황인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2. 참아야 하는 이유
지구에 살아가는 생물들은 살아가기 위해서는 환경에 의해 규정되는데, 그 반대로 지구 탄생 이후의 시간을 고려할 때 생물이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미미하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