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세균이나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미생물로 인한 감염으로 발생하는 폐의 염증이다.
기침, 염증 물질의 배출에 의한 가래, 숨 쉬는 기능의 장애에 의한 호흡곤란 등 폐의 정상
적인 기능에 장애가 생기는 폐 증상과, 구역, 구토, 설사 등의 소화기 증상 및 두통, 피로감, 근육통, 관절통 등의 신체 전반에 걸친 전신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병태생리
기침반사, 점막의 섬모운동, 폐포의 대식세포의 식균 작용, 염증반응, 면역반응을 포함하는 방어기전은 흡입된 병원균으로부터 아동을 보호한다. 민감한 인체에 침범한 병원균은 독소를 방출하여 2,3차 방어기전을 자극한다. 방출된 독소와 신체 방어기전으로 인해 생성된 부산물은 폐 점막을 손상시키고, 기도 내에 삼출물과 조직 파편이 축적된다. 이러한 현상은 비정상적인 환기/관류 비율의 이상을 초래한다.
<병리적 소견 4단계>
폐 울혈기(제1~2일)
⦁감염에 대한 반응 -> 폐포에 부종 발생
⦁다형핵 백혈구 증가, 적혈구 삼출
적색 간변기(제2~4일)
⦁조기 경화시기
⦁대엽이 단단하며 붉은 과립상
⦁가슴막 표면에 섬유소 부착
⦁모세혈관 울혈
회색 간변기(제4~8일)
⦁진행경화기
⦁대엽은 더 단단해지고 섬유소성 삼출물의 덩어리가 가슴막 표면을 덮음
⦁삼출액 화농
용해기(제8~9일)
⦁세균이 제거되며 염증과정이 수그러짐
⦁폐 정상 회복
▶분류
1)원인에 따른 분류
바이러스
모든 연령
점진적으로 나타나고, 열이 높지 않으며, 비교적 덜 심한 임상적인 소견을 보인다.
1~2주 이내에 증상이 호전
WBC를 확인하여 염증상태를 확인한다.
세균
모든 연령, 영아
증상이 갑자기 발현 된다. 감기로 오인하여 병원에 방문하였다가 발견하는 경우가 많다.
염증지표가 있는 상태에서 CRP가 상승할 시에 세균성 폐렴으로 진단 내린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3~4세 아동
두통, 권태감으로 시작해 발열하거나 기침을 한다.
에리트로마이신, 테트라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등이 치료제로 쓰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