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안전 현황과 손상예방 전략』연구(이하 손상예방 전략연구)는 김미숙·이주연·김지민·정윤경·서울대병원(2015)이 국민건강과 안전을 위한 아동안전전략 구축방안 연구의 일부를 요약 및 정리한 것이며 우리나라 아동의 손상실태를 살펴본 후 손상예방 전략을 제안한 자료를 토대로 정리되었다.
아동복지론(오정수·정익중, 2017)(이하 교재)은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15~49세의 가입기간 동안 갖게 될 평균 출생아 수)이 1970년 4.53명에서 급감하여 2005년에는 1.08명으로 4배 이상 감소하였으며, 2015년에는 1.24명으로 약간 증가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통계청, 2015a)이라고 하며 합계출산율이 세계 최하위 수준에 머무는 이 시대의 아동을 안전하게 키워내는 일은 더 이상 부모만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와 국가가 함께 부담해야 할 책무라고 하고 있다.
안전(safety)이란 매우 다양하게 정의 내려지고 있다. 한편에서는 범죄와 폭력의 예방을 의미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인간의 기본적 욕구인 음식, 주거, 수면 등이 충족된 상태를 의미하며, 아동안전이란 개념도 손상, 위험 등의 개념과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학문적으로 이러한 개념들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안전은 물리적, 물질적 혹은 도덕적 위협이 없는 상태나 상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위험으로부터 피할 필요를 느끼는 못하는 상태이다.
손상에 대해서는 안전이 유지되지 못하는 상태 중의 하나로 정의할 수 있다. 손상이란 WHO(2001)에 의하면 “신체가 강한 에너지에 의해 해를 입은 상태”이다. 손상의 유형에는 폭력 및 성폭력, 전쟁과 같은 집단 폭력, 자살과 자해 등의 의도적 사건과 교통사고, 가정이나 직장에서의 넘어짐과 다침 혹은 스포츠 및 놀이 활동을 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비의도적 안전사고 등이 있다. 안전사고의 원인은 다차원적인데, 한국산업안전공단과 산업안전보건원(1999)에서는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국민들의 낮은 안전의식, 비효율적인 안전관리체계, 안전정보 부족 등을 들고 있다.
참고자료
· Maurice, Pierre, Michael Lavoie, Antoine Chatelaine H l ne Belanger Bonneau. (1997). Safety and Safety Promotion:
· Conceptual and operational Aspects. Chronic Disease in Canada. 18(4). pp.179-8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