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의 효능감 주제로 논문 5편을 읽고 작성
- 최초 등록일
- 2018.09.13
- 최종 저작일
- 2018.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보육교사의 효능감 주제로 논문 5편을 읽고 작성(논문 요약 및 자신의 생각으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2)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3) 보육교사가 지각한 시설장의 리더십 및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4) 유아 부모-교사 파트너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5)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효능감,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교사 효능감’이란 교사변인이 학생의 학업적인 성취에 얼마나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교사 스스로의 지각을 뜻한다. 교사 효능감은 ‘교수 효능감(teaching efficacy)’과 ‘개인적인 교사 효능감(personal teacher efficacy)’의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두 가지가 상호적으로 작용하여 교사의 동기와 정서, 그리고 행동을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교수 효능감’이란 교수자의 행위가 학생의 학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교사의 기대를 말하는 것이며, 개인적인 교사 효능감이란 본인의 교수적인 능력에 대한 개인적인 평가를 뜻하는 것이다.
여러 교사들 중 특히 보육교사는 신체적, 인지적으로 매우 미성숙한 어린 아이들을 상대로 교육을 진행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교사 효능감에 상대적으로 더 예민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여 필자는 보육교사의 효능감을 주제로 하여 작성되어진 논문 5편을 읽고, 본론과 같이 내용을 정리하였다.
Ⅱ. 본론
1)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보육교사의 행복한 감정이 교사의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그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보육교사의 행복 수준에 따른 교사의 효능감에는 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서현주(2006)가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인 안녕감 및 교사 효능감의 관계에 대하여 실시했던 연구의 결과와는 상반 된 것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가 느끼는 행복감이라는 것은 교사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대부분 결정되는 반면, 교사의 효능감은 자신이 한 행동에 대한 타인의 인정과 보상, 그리고 좋은 결과 등과 같은 외적인 요소에 의하여 많은 부분이 결정되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교사의 개인적인 행복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참고 자료
배성희.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회. 2009.
정순희, 최영미, 이희영. 영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정서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민혜영. 보육교사가 지각한 시설장의 리더십 및 의사결정 유형과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연구. 영유아교육학회. 2010.
최미숙. 유아 부모-교사 파트너십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이춘옥.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교사효능감,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