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과 플라스틱
- 최초 등록일
- 2018.08.24
- 최종 저작일
- 2018.08
- 2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환경호르몬과 플라스틱에 대한 내용입니다.
관련 내용은 목차를 참조하세요.
목차
1. 개요
2. 환경호르몬
2.1 환경호르몬의 정의
2.2 환경호르몬의 특성 및 종류
2.3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호르몬
3. 플라스틱
3.1 플라스틱의 역사
3.2 플라스틱의 종류
4. 플라스틱의 재활용
4.1 폐 플라스틱의 현황
4.2 플라스틱의 재활용
4.3 재활용 제도
4.4 친환경 플라스틱의 개발 및 한계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개요
인류의 기술 개발 중 가장 혁신적인 발견은 플라스틱이라고 할 수 있다. 플라스틱의 개발로 인류의 일상생활이 매우 간편하고 편리해졌으며 이로 인한 관련분야는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플라스틱은 자연물질이 아닌 인공 즉 인간이 만든 합성물질로 인간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제품을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될 소재로 현대인의 일상생활에 매우 깊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러나 무분별한 플라스틱 제품의 사용으로 인하여 윤택하고 편리한 생활을 보장한 플라스틱 제품이 이제는 인류의 생명을 위협하는 환경폐기물로 인식되고 있다.
인류가 편리하게 사용하고 버려진 수많은 플라스틱 제품들은 자연의 생태계의 흐름을 교란하고 지구의 환경 자정능력을 상실하게 하고 있다. 이렇게 버려진 폐 플라스틱에서 발생되는 화학물질은 이제는 환경호르몬이라는 물질로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친숙하지만 무서운 단어로 지구상에 생존하는 모든 생물체에 노출되고 있으며 그 영향은 매우 빠른 속도로 나타나고 있으며, 단기간에 걸쳐 모근 생명체에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2. 환경호르몬
2.1 환경호르몬의 정의
환경호르몬이란 용어는 일본의 학자들이 「1997년 5월 NHK 방송에 출연하여 환경 중에 배출된 화학물질이 체내에 유입되어 호르몬처럼 작용한다」는 말에서 기인하였고 환경호르몬은 1990년대 초반 미국의 생태학자인 “Theo Colborn”의 “Our Stolen Future”라는 저서에서 일부 화학물질이 생체 내에서 내분비계 기능을 교란하는 물질이라는 내용을 소개하면서 사회적인 환경이슈로 등장하기 시작한 물질이다.
현재 보고되고 있거나 추정되고 있는 내분비계 장애물질의 종류는 100여종 이상으로 플라스틱 용기와 세제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이옥신, PCB,DDT, Plasticizer, 유기농양 등이 대표적인다.
학술적인 명칭으로는 「외인성 내분비교란 화학물질」이라고 불리우며, 미국과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참고 자료
권영진, 열분해분석법을 이용한 플라스틱제품의 사용 중 및 폐기 시 발생하는 유해화학물질에 관한 연구, 2004,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송근수, 폐플라스틱의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기술 동향, 2016, 국가환경정보센터.
신희덕, 폐플라스틱의 처리, 재자원화 최신동향, 2014, 자원리싸이클링.
환경부, 한국 폐기물 정책 소개자료, 2015
한국폐기물협회, http://www.kwaste.or.kr/
(사)한국플라스틱포장용기협회, http://www.kppca.org/
환경부, 2017 환경통계연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