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리적변화 (Changes of reproductive organs)
1. 자궁의 퇴축성 변화는 어떤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지는가?
· 자궁의 퇴축성 변화들은 3가지 중요한 과정에 의해 이루어진다.
① 자궁근섬유의 수축과 견축 (≠ 세포 수 증가)
: 자궁근섬유가 수축되어 임신 중 늘어난 자궁근이 줄어들게 됨
② 자궁벽세포의 단백물질들의 자가분해와 용해
: 이화작용으로 확장된 각각의 자궁근 세포의 크기가 줄어 듦
③ 자궁내막의 재생 (즉, 태반 부착 부위였던 내막이 재생되는 과정)
: 오로가 배출되는 동안 탈락막의 상층이 떨어져 나간 뒤 탈락막 저층에서 자궁상피세포의 재생 일어남
2. 태반이 부착되었던 부위는 어떻게 정상복구 되는가?
· 태반과 태아막이 만출 된 직 후 : 태반부착부위에 혈관수축과 혈전은 불규칙한 결절을 줄어들게 하면서 그 부위가 상승함
· 태반 박리 후 남아있던 기저층에서 자궁내막 조직이 성장해 침식 -> 박피작용
· 자궁내막의 성장 : 괴사된 조직을 떼어내고 반흔이 형성되는 것을 막아 다음임신에 수정란이 착상하고 태반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
· 분만 후 3주정도 지나면 자궁내막 재생 (태반부착부위 제외), 약 6주 정도 후 태반부착 부위 재생
· 퇴축부전 : 태반부착부위가 완전히 치유되지 않은 경우는 지속성 오로와 무통성 출혈을 나타냄!
3. 정상적인 퇴축이 지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거대아, 쌍대아, 양수 과다 등으로 자궁근육이 과다하게 신전된 경우에 흔히 일어나며, 자궁이완과 태반조직의 잔류로 인해 출혈, 감염과 같은 합병증이 호발하기도 한다.
· 진통을 오래한 난산, 양막과 태반이 불완전 만출, 자궁감염, 자궁근의 과도한 팽창, 방광팽만, 마취
(마취로 인해 자궁근 이완) 등
4. 분만 후 얼마동안 자궁저부가 제와부 위에서 촉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분만으로 압박 되어있던 골반저부의 근육이나 방광 근육의 긴장도가 산후에 정상으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그 후 자궁은 서서히 줄어들어 골반강 내로 하강하게 됨
참고자료
· 제 8판 여성건강간호학 II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2016)/ 수문사
· 여성건강간호학 II / 이영숙 외(2014) / 현문사
· 여성건강간호학 II / 김혜원 외(2011) / 정담미디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