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목 적 :
인산의 적정을 통해서 다양성자산의 적정 곡선을 익히고, 완충 용액의 원리와 중요성을 배운다.
2. 원 리 :
산이나 염기를 넣어주어도 용액의 ph가 거의 변화하지 않는 현상을 완충 작용이라고 하고, 이런 특성을 가진 용액을 완충 용액(buffer solution)이라고 한다. 완충 작용은 인체를 비롯한 생물체에서 흔히 찾을 수 있으며, 생화학과 의학 등의 여러 분야에서 그 중요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우리 몸 속의 혈액은 대표적인 완충 용액이다. 혈액은 pH7.4의 완충 용액으로 혈액의 pH가 +-0.2 정도만 변해도 생명에 위험이 될 정도가 된다. 따라서 혈액의 완충 작용이 없다면 우리 몸은 시시각각으로 우리 몸에 유입되는 여러 종류의 산과 염기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완충 작용을 이해하기 위해서 pH가 5인 용액 몇 종류를 생각해본다. 먼저 0.1 M 염산(HCI)을 0.1M 수산화 나트륨(NaOH)으로 적정하는 경우에 대부분의 염산이 중화되고 10M만 남아있을 경우에 용액의 pH는 5가 된다.
<중 략>
5. 참고문헌
a. 르 샤틀리에의 원리
1884년, 프랑스의 화학자인 르 샤틀리에가 발견한 화학 평형 이동의 법칙으로, 열역학적으로 평형 상태에 있는 계에 온도 또는 압력을 바꾸었을 때 그 평형 상태가 어떻게 이동하는가를 보여주는 원리이다. 하나의 가역 반응이 평형 상태에 있을 때 평형에 관계하는 물질의 농도, 압력, 온도 등을 변경하면 그 평형은 정, 역 어느 한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된다. 그 결과 좌, 우 양쪽의 물질의 양의 비율이 변하여 새로운 평형에 도달한다. 즉, 반응이 평형 상태에 있을 때 농도, 온도, 압력 등 평형의 조건을 변화시키면 그 변화를 없애고자 하는 방향으로 새로운 평형에 도달한다. 이를 르 샤틀리에의 원리라고 한다. 이 원리를 통하여 물질계의 평형이 조건의 변화에 따라서 어떠한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알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