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 분석 실험 보고서(탁도 측정)
- 최초 등록일
- 2018.07.12
- 최종 저작일
- 2014.03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9,000원
소개글
안녕하세요 탁도에 관한 수질 분석 보고서입니다 보시고 참고하시면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목차
1.Title
2.Objective
3.Theory
4.Procedure
5.Observatino & Result
6.Disscussion
본문내용
1.Title
탁도 측정
2.Objective
각 시료를 광도계를 이용해서 결과값을 측정함으로써 탁도에 대해 좀 더 이해하고 그 과정을 깨우칠 수 있다.
3.Theory
1) 탁도(turbidity, 濁度)의 정의
수중의 부유물질 등에 의하여 물이 혼탁한 정도. 물로 통과하는 빛이 이러한 비용해성 부유물질에 의해 산란되거나 흡수되어 흐리게 보여지는데, 수질 지표로서 탁도는 보통 빛을 입사시켜 부유물질에 의해 산란된 정도를 광학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냄. 탁도의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에는 NTU(Nephelo-metric Turbidity Unit)를 사용하는데 이는 우윳빛의 표준 입자 polymer를 사용하여 얻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한 값을 뜻한다.
탁도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인하여 급수시설 및 상수도 분야에서 중요하게 여겨진다.
첫째, 탁도는 정수처리공정 중 바이러스를 여과지에서 99% 이상 제거하는데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항목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높으며, 여과지별로 탁도계를 설치, 운영토록 명시되어 있다는 것을 볼 때 정수처리 공정 중에서 여과지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둘째, 심리적 안정감에 관한 사항으로 수돗물을 공급받는 물소비자들은 탁도가 낮은 맑은 물을 기대한다.
셋째, 여과성능에 관한 사항으로 물의 여과는 탁도가 높아지면 보다 어렵고 경제적인 부담이 늘게 된다.
넷째, 소독과 관련하여 탁도가 원수의 고형물에 기인되는 경우 많은 병원성 미생물들이 입자에 둘러싸여 소독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2)측정방법
탁도 측정방법은 기기분석법과 육안법이 있다. 기기분석법은 혼탁입자들에 의하여 산란도를 측정하는 네펠로법(Nephelometry)을 이용하는 것으로 네펠로법-혼탁도-단위(Jackson Turbidity Unit ; JTU)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측정하는 방법이 근본적으로 다르므로, 기기 분석법에 의한 측정결과와 육안법에 의한 측정결과에는 약간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며, 그 정도는 혼탁입자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참고 자료
http://blog.naver.com/jmsin30/80156937949 (탁도 측정 이론)
[네이버 지식백과] 탁도 [turbidity, 濁度] (해양과학용어사전, 2005.10.7, 아카데미서적)
호수의 부영양화, 강원대학교 환경학과 안태석 조교수, 1988
1988-1990년 무심천의 계절별,시간대별 수질 측정 참고
하수처리수의 재이용 기술에 관한 연구, 2001. 10, 환경관리공단
부적합 항목별 원인 및 인체에 미치는 영향, 음성군 수도사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