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헌화가>의 배경설화 의미 재고
1) 老翁牽牸牛
2) 水路姿容絶代
3.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1. 서론
<헌화가>는 신라 성덕왕 때 한 노옹에 의하여 불린 4구체 향가로, 서정의 대상은 수로부인이다. 표면상으로는 수로부인의 빼어난 외모를 예찬하고, 미모의 여인에게 반한 노옹의 낭만적 행보를 그리는 듯하지만 <헌화가>에서 노옹은 단순히 애욕에 찬 인간이 아니라 진정한 아름다움을 알아본, 완숙의 경지에 오른 신선으로까지 해석될 수 있다. 이에 필자는 향가 <헌화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배경설화에 나타나는 ‘老翁牽牸牛’와 ‘水路姿容絶代’의 의미를 재고(再考)하고자 한다. 이를 구명하기 위해 기존 견해를 정리하여 의미를 살펴보고, ‘老翁牽牸牛’와 ‘水路姿容絶代’의 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2. <헌화가>의 배경설화 의미 재고
<헌화가>는 『삼국유사』에 한역가(漢譯歌)와 함께 실려 있다. 한역의 형태를 띠면서 전달되고 있는데, 우리 문자가 존재하지 않던 시대에도 향찰이라는 표기수단을 활용해서 우리의 감정과 사상을 담은 우리 문학을 계승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가치가 있는 일이다.
참고 자료
강등학, 「헌화가의 심층」, 세국어교육, 1931
김광순, 「헌화가」, 『향가문학론』, 새문사, 1991
김수경, 「남성성과 여성성의 대립으로 본 헌화가」, 이화여대한국어문학연구소, 1999
김완진, 『鄕歌解讀法硏究』, 서울대 출판사, 1980
김운학, 『신라불교문학연구』, 현암사, 1976
김종우, 『향가문학연구』, 반도출판사, 1983
김학성, 「삼국유사 소재 설화의 형성 및 변이과정」,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 출판부, 1980
박노준, 『신라가요의 연구』, 열화당, 1982
성기옥, 「헌화가와 신라인의 미의식」,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집문당, 1995
서철원, 「신라중대 향가에서 서정성과 정치성의 문제 : 성덕왕대 <헌화가>, <원가>를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2006
안영희, 「고대인들에게 반영된 꽃의 의미」, 숙명여대 아시아여성문제 연구소, 1972
윤경수, 「향가 여요의 현대성연구」, 집문당, 1993
윤영옥, 『신라시가의 연구』, 형설출판사, 1996
이동철, 「수로부인 설화의 의미 : 기우제의적 상황과 관련하여」, 한민족문화연구, 2006
이진수, 「삼국유사에 보이는 화랑의 신체사상과 그 조련에 관해」,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1990
최철, 『향가의 문학적 해석』, 연세대 출판부, 1990
홍기삼, 『향가설화문학』, 민음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