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오페라 감상문] '오르페오', '피가로의 결혼' 감상문_숭실대학교 오페라로 사회사 읽기 중간 레포트
- 최초 등록일
- 2018.07.08
- 최종 저작일
- 2017.04
- 9페이지/ MS 워드
- 가격 3,000원
소개글
숭실대학교 교양과목 오페라로 사회사 읽기 중간과제 자료입니다.
해당자료는 A+를 받았으며,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목차
I. 개요
1. 오페라(opera)란?
II. 본론
1. <오르페오>와 <피가로의 결혼> 비교 분석
2. <피가로의 결혼>으로 알아보는 현대 사회의 갑을 관계에 대한 해석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I. 개요
1. 오페라(Opera)란?
오페라(opera)라는 말은 라틴어로 opus(작품)의 복수형에서 유래됐다고 알려졌다. ‘음악극’이며 음악, 연극, 미술 등 많은 장르가 결합된 종합 예술이라고 불리운다. 초기의 오페라는 연극에 가까웠다고 한다. 이탈리아 피란체의 바르디 백작 성에서 <디프네>란 음악극을 만들었는데, 이것이 오페라의 시초라고 여겨진다. 초기 오페라는 흔히 궁정 오페라라고도 많이 불리는데 귀족들의 권력이나 지위를 자랑하기 위한 특정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또한 축하 행사의 일회성 이벤트로 공연이 중심이 아니였다고 한다. 공연장에서 친목을 다지거나 떠들거나 자신이 보고 싶은 부분만 보는 현대 시대라면 상상할 수 없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18세기 이탈리아에서 계몽주의 사상이 중심이 되면서 오페라의 인기도 많아졌고, 자연스레 상연 시간도 길어지게 됐다. 이때, 오페라 연극의 막간에 유쾌한(웃음) 변화를 주는 코믹스러운 음악극이 보여지면서 오페라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온다. 바로 막간극을 시초로 한 오페라 부파이다. 오페라 부파는 기존 오페라의 반발로 만들어졌으며, 여기서 부파는 ‘우스꽝스럽다’라는 형용사를 뜻한다. 초기 이탈리아 오페라의 대표작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와 18시대 이탈리아 오페라 유형 오페라 부파의 대표작 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을 비교해보며 차이점을 알아보기로 했다.
II. 본론
1. <오르페오>와 <피가로의 결혼> 비교 분석(10점)
초기 이탈리아 오페라 몬테베르디의 <오르페오>는 궁정 오페라의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궁정 오페라는 귀족들의 부와 지위를 과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됐다. <오르페오>의 경우 곤차가 궁정의 작은 방에서 초연 됐으며, 이후 만토바 공작 궁정에서 열린 귀족 남성들의 아카데미를 위한 궁정 오페라를 상연했다. <오르페오>는 그리스 로마 신화의 한 소재인 ‘오르페오와 에우리디케의 사랑이야기’를 주제로 가지고 있다. 시대를 재현하다라는 것으로 그 시대의 음향을 재현하기도 했다.
참고 자료
신광민, 「W. A. Mozart의 Opera Buffa에 관한 특성 연구 : 「피가로의 결혼(Le Nozze di Figaro)」을 중심으로」,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6
이주연, 「모차르트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의 등장인물에 대한 음악 사회학적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