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학 실습 케이스 (CASE STUDY) 조현병, 정신분열증(SPR : schizophrenia)(간호과정7개 포함)
- 최초 등록일
- 2018.07.06
- 최종 저작일
- 2018.07
- 5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하나하나 정말 정성들여서 했습니다
정신분열증에 대한 문헌고찰 여러가지 다 했구요
웬만한 자료 다 정리해서 넣었습니다.
성적은 당연히 A++받았구요
제가 대표로 발표도 햇습니다.
간호사정에서 본론 에서 환자의 과거력 현재력 성장발달 가족력 정신상태
진단검사 약물등 웬만한 양식 전부다 했습니다!!!!!!!!!!!!!!
가장 중요하지만 어려운 간호과정!!!!!!!!!!!!
7개나 했습니다.
간호사정,간호진단.간호목표,간호계획,간호수행,이론적근거,간호평가 까지 해서
자세하게 잘했다고 교수님한테 칭찬받았구요
사진자료도 몇개 넣었구요
느낀점까지 있습니다.
자신이 필요한 부분 조금만 고쳐서 내도 될거 같네요
정말 열심히 했으니깐 잘 활용하세요^^
정신분열증 케이스 레포트 말고도
정신간호실습중 내야되는 레포트 많이 있으니
제 아이디로 검색해서 둘러보세요^^
목차
Ⅰ서 론
1.연구의필요성
2.대상자 사례선정 동기
3.연구대상 및 기간
4.연구방법
5.문헌고찰
Ⅱ본 론
1. 간호사정
2. 간호 문제 및 진단
3. 간호 수행 총괄 평가
Ⅲ 결 론
본문내용
1. 정신분열병의 정의
정신분열병은 정신과 질환 중 가장 만성적이고 황폐화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복잡하고 극히 혼란스러운 상태를 말한다. 정신분열병은 하나의 질병일 수도 있고 여러 원인을 가진 질병군일 수도 있다. 질병의 복잡성 때문에 정신분열병 진단을 받은 모든 이를 일반화시켜 말하기는 어렵다.
갑작스러운 정신병적 상태를 보이는 경우, 우리는 그 사람이 급성 정신분열을 경험하고 있다고 일컫는다. 여기서 말하는 '정신병적 상태'란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어떤 이들은 단 한번 이런 상태를 경험하기도 하고 또 다른 이들은 일생동안 여러번 경험하기도 하지만 정신병적 상태 사이에는 비교적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한다.
지속적인 증상을 보이거나 재발을 하는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은 종종 정상적인 기능으로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증상을 조절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포함한 장기간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다. 어떤 환자들은 다른 사람들의 도움 없이는 전혀 기능을 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일생동안 정신분열병에 걸릴 확률은 전체 인구의 약 1%이고 이병은 남녀가같은 빈도로 발생한다. 이 병은 남자의 경우 대개 10대나 20대, 여자의 경우는 20대나 30대 초반에 발병한다. 사회적 고립, 평소와 다른 언어 사용, 생각이나 행동 등 비교적 명백하지 않은 내과적 질환으로 인해 정신병의 증세를 보이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런 질환들을 감별하기 위해 입원기간동안 의학적 문진이나 신체적 검사 및 임상적인 검사들을 받아야만 한다.
참고 자료
이광자, 유숙자 외(2006).정신분열증.정신간호총론, 수문사, p.298-329.
이은옥 외 6명(2003).정신분열증.간호진단과 중재,서울대학교 출판부
http://www.ymy.co.kr/12wa/drug.htm 드러그인포
http://www.psychosis119.pe.kr/index.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