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본론
1. 한국의 외식문화의 특징
➀. 식문화
➁. 성장배경
2. 일본의 외식문화의 특징
➀. 식문화
➁. 성장배경
Ⅲ. 결론
1. 외식문화의 장단점 비교
2. 느낀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외식이라 함은 밖에서 음식을 먹는 것으로 가정의 식생활을 기준으로 구분한다.
즉 가정 내의 식생활을 내식 이라 하고 가정 외의 식생활을 외식 이라 한다. 종래의 외식산업에 있어서 외식에 대한 개념은 가정 외 식생활을 그 범위로 하였다. 그러나 완제품 음식, 출장연회, 도시락 판매 등 다양한 소비형태의 발전으로 가정 내의 식생활에서도 외식의 개념이 자리잡게 되어 현대적 의미의 외식이란 가정 외 식생활과 가정 내 외식적 내식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규정짓게 되었다.
한국과 일본의 외식문화를 비교하기 앞서 외식산업이 기본적 행위인 식사와 직접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만큼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Ⅱ. 본론
1. 한국의 외식문화의 특징
➀ 식문화
한국의 음식문화는 각종 음식을 차려놓고 함께 어울려 식사하는 태도로 다른나라에서 찾아보기 힘든 특징적인 것으로 손 꼽는다. 이 특징적인 문화 현상은 무의 종교의례인 굿에서의 음주가무와 직결되며, 또 다른 특징으로는 발효음식을 들 수 있다. 술, 젓갈류, 장류, 김치류 등이 대표적인 것이고 한국음식 가운데 이들분야의 발달과 명성은 가히 세계적이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음식을 한상에 차려 내 다양한 맛을 음미하고 고른 영양을 섭취할수 있게 만든 반상차림은 우리나라 식문화의 가장 기본으로써 밥과 반찬을 한 공간위에 배치해 놓고 혼합해서 먹을수 있게 함으로 주식인 밥과 부식인 반찬의 조화로 영양적인 균형을 꾀하는게 한국음식의 특징이며같은 재료라고 할 지라도 각기 다른 조리법으로 끊임없이 밥상의 변화를 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재료의 상태와 지역적특성이 나타나는 지역별 재료, 계절의 변화에 따라 이를 적절히 응용해서 만들어 내기도 한다. 또한 자연에서 얻어진 제철 재료를 골고루 이용하며 계절의 변화를 고스란히 담아내는 음식또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자료
· 외식산업의 이해, 원융희 운기열공저 두남출판사 2002
· 외식산업경영론, 조문수 윤혁수 공저 교문사 1998
· 국내외외식산업 현황분석 , 한국음식업 중앙회
· [네이버 지식백과] 일본의 음식문화 (일본의 사회와 문화, 2011. 2. 28., 제이앤씨)
· 외식산업관리론 - 김기영, 염진철 저 / 현학사 / 2013
· 외식산업의 이해 - 나정기 저 / 백산출판사 / 2013
· 외신산업경영학 - 박기용 저 / 대왕사 / 2009
· 외식산업개론 - 김윤태 저 / 대왕사 / 2011
· 식생활 문화 - 정혜경, 오세영 저 / 교문사 / 2013
· 현대인의 식생활과 건강 - 홍희옥, 맹원재 저 / 건국대학교출판사 / 2013
· 식생활관리 - 권순자 권미리 외 3명 저 / 파워북 / 2011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