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호력 (Nursing history)
2. 현 건강 상태
3. 투약
4. 질병에 대한 기술
5.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CRC(Colorectal Cancer) : 대장암, 결장직장암
(1) 정의 및 원인
① 정의
- 결장암 : 결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
- 직장암 : 직장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
② 원인
- 50세 이상의 연령에게 발생률이 크게 증가
- 가족력 : 직계 가족, 내에 결장암, 가족성 선종성 용종 증후군
- 궤양성 대장염의 과거력 : 진단 8-12년 후 위험이 증가
- 대장 용종 : 결장 및 직장 안쪽 점막에 생기는 혹으로 대부분의 용종은 양성(양성은 암이 아님)이지만 어떤 용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암으로 진행
- 흡연 : 흡연은 대장암의 발생위험을 2배 정도 상승시킴
- 음주 : 음주는 대장암의 발생위험을 2배 정도 상승시킴
- 고칼로리의 지방 음식과 육류의 과다 섭취 : 담즙산의 과다분비를 조장하며 태우거나 튀긴 음식, 훈제 음식 등은 발암물질로 간주
(2) 병태생리
-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이 됨에 따라 장 내에서 크기가 커지고 장벽을 침윤하여 림프계나 순환계로 퍼짐.
- 용종(polyp)이 악성으로 변이되기까지 약 5-12년이 걸린다.
- 정맥 혈류가 간문맥으로 흐르기 때문에 간 전이가 빠름
- 악성종양은 위에서 가로결장까지 인접해 있는 기관에 직접 침범
- 간으로는 림프와 혈액을 통해 전이
- 복강내 전이로 방광이나 요관, 생식기관 또는 직접 침범, 장과 질 사이 누공 발생
(3) 증상 및 징후
- 설사 또는 변비
- 배변 후 장이 완전하게 비워지지 않은 것 같은 느낌
- 피 섞인 대변
- 평상시보다 가는 변
- 잦은 가스 및 WK는 듯한 통증 또는 가득 차거나 부푼 느낌
- 이유 없는 몸무게 감소
- 항상 피곤함을 느낌
- 메스꺼움 또는 구토
(4) 진단
① 대변 잠혈검사(Fecal Occult Blood Test)
용종 또는 암이 있는 부위에서 출혈이 있어 대변에 피가 섞여 나왔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검사입니다. 만약 대변에 피가 섞여 있다고 결과가 나오면 출혈의 원인을 찾기 위해 대장내시경과 같은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참고자료
· 김금순, 최경옥 외 6명, 성인간호학1, 2012년, 수문사
· 김명자 외 5명, 기본간호학 상권, 2009년, 현문사
· 김명자 외 5명, 기본간호학 하권, 2009년, 현문사
· Handbook of nursing Diagnosis, 2013년, Carpenito-Moyet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