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중국의 경제발전
Ⅲ. 글로벌 금융위기
1. 버블경제현상
2. 08년 미국발 금융위기와 결과
Ⅳ. 중국 경제문제 현안과 경제위기론
Ⅴ. 각국의 경제문제 현안과 비교 – 미국, 일본, 그리고 이머징 국가들
Ⅵ. 중국경제의 특수성
Ⅶ. 결론 – 진단과 문제해결 솔루션 제안
본문내용
Ⅰ. 서론
2014년 5월 시진핑 주석은 현재까지 이어지는 중국경제의 고속성장에서 중고속 성장으로 전환되는 현상을 “새로운 상태”라고 설명하였다. 동시에 신상태 시대를 맞아 중국은 중고속 성장기에 대한 국가 산업 구조조정, 즉 공급측 개혁 정책을 진행하게 된다. 10%대의 경제성장률이 8%이하로 하락하면서 중국으로 직접투자를 하던 많은 투자자들이 경제위기가 발생할 것인가라는 의문을 갖는 실정이다. 한국경제에서는 일명 ‘차이나 리스크’라고 불리는 중국위기론은 한국의 무역의존도가 높고 불안정한 투자 심리로 인해 확산되었으나 중국경제가 위기에 처한 것인지는 중국을 봐야 알 수 있고 다양한 경제지표뿐만 아니라 여러 현상과 사례들을 종합하여 판단해야 섣부른 투자시장 위축을 피할 수 있다.
<중 략>
Ⅱ. 중국의 경제발전
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정책 선언과 92년 본격화 추진을 통해 중국은 08년 일본을 따라잡고 세계경제 2위 대국에 오른다. 제조업 산업의 육성을 통해 세계의 공장 역할을 맡아오며 양적 성장을 지속하던 중국은 장쩌민 정부 ‘조대방소’정책을 통해 국내 기업 간 M&A를 장려하여 전략적인 기업재편을 추진해왔으며 후진타오 정부시기에도 WTO에 가입하며 법적, 제도적 정비를 통해 M&A를 지속하며 국유기업들을 경쟁력 있는 글로벌 대기업으로 만드는 노력을 지속해왔다. 이러한 국유기업들은 중국 주식 상장회사의 70%를 넘어서는 등 주식시장 발전에 절대적인 역할을 해왔다.
. 하지만 03년 설치된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국자위)의 간섭과 국유방식으로 빠르게 변동하는 시장대응의 어려움으로 소유와 경영을 분리하는 국유기업이 등장하며 신사업 분야(IT, 핀테크 등)에서 민영기업들도 등장하며 산업구조의 흐름이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요인은 수요에 따른 시장의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시진핑 정부의 구조조정 정책이 추진됨에 있어, 세계 수요시장의 위축으로 인한 구조개혁 필요성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Robert J. Shiller, 정준희 옮김, [버블 경제학(The Subprime Soulution)], 랜덤하우스, 2009
Bruce E. Henderson, 김정환 옮김, [서브프라임 크라이시스(The Sub-prime Crisis)], 랜덤하우스, 2008
아베 요시히로, 김정환 옮김, [세계 금융의 미래], (주)웅진씽크빅, 2009
구기보, 홍기석, [중국경제론(제2판)], 三英社, 2017
인장일, [세계금융위기와 중국경제], 김광수경제연구소, 2009. 03. 01
김영익, 조용준, 안유화, 임상균, [중국발 금융위기, 어디로 갈 것인가], 한스미디어, 2015년 10월
고정식, [중국 주식시장의 버블 평가 -자본화 지수를 중심으로-(An Evaluation of Stock Bubble in China)_한중사회과학연구 39권_101-129(29pages)], 한중사회과학학회, 2016년 04월
KIEP(대외경제정책연구원)북경사무소, [중국 그림자금융 리스크 확대와 대응조치_KIEP북경사무소브리핑 2012년 02월호_1~16 (16pages)],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2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