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문헌고찰
(제왕절개)
1.정의
2.적응증
3.수술방법
4.수술 전 후 간호
(전치태반)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검사
6.치료
7.경과합병증
Ⅱ. 간호과정
1. 대상자 자료 수집(Assessment)
2. 간호진단 목록
3. 간호과정
본문내용
< 제왕절개 Cesarean Section, C/SEC >
1. 정의: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분만하는 외과적 수술법
2. 적응증
①모체와 태아측 요인
․ 난산 :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 부전 등
②모체측 요인
․ 모체 질병 :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
․ 중증감염 : 음부포진, 활동성 병소
․ 과거에 제왕절개 분만을 했을 경우
․ 자궁수술의 경험이 있을 때
․ 난소종양,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
․ 35세 이상의 초산부나 오랜 불임산부
③태아측 요인
․ 태아질식(제대탈출, 심한 태반기능부전)
․ 횡위, 둔위
․ 다태아(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④태반 요인
․ 전치 태반, 태반 조기박리
⑤ 제왕절개 5대 적응증
․ 아두골반불균형(Cephalopelvic disproportion)
․ 과거 제왕절개 분만경험(previous C/S)
․ 아주 심한 자간전증(Very severe Preeclampsia)
․ 전치태반이나 태반조기박리(Placenta previa or abruptio placenta)
․ 태아질식 또는 임박한 질식(fetal distress or pending)
3. 수술방법
1)복부 절개
①배꼽밑 정중선 수직절개(Infraumbilical midline vertical incision)
복부의 정중선을 따라 피부의 배꼽 아래부터 치골의 상단까지 수직으로 절개합니다.
이 절개의 장점으로는 필요할 때 언제든지 신속하게 배꼽 주위나 그 위로 절개를 연장시킬 수 있고, 여러 복부절개 방법 중 가장 빠른 방법으로 태아나 산모가 위급한 상황에서 빠른 분만이 필요하거나, 비만한 여성에게 유리합니다.
②복부 반월형 횡절개(Pfannenstiel incision)
배꼽 아래의 치모선 부위에서 피부와 피하조직을 하부횡곡선형으로 15~20cm가량절개합니다.
참고자료
· 김계숙 외. 여성건강 간호학 임상메뉴얼, 서울:현문사, 2002.
· 최연순 외. 여성건강 간호학 2, 서울:현문사, 1999.
· 이영숙 외. 여성건강 간호학 2, 서울:현문사, 2004..
· 이경혜, 이영숙 외, 여성건강간호학Ⅱ, 서울:현문사, 2003.
· 강별철 외 . Essencial of clinical Nursing III, 서울:한우리, 2005.
· 사이트: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26862&cid=51007&categoryId=5100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