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대학원 수업 기말 레포트입니다. 학부 수업 과제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목차
1, 서론
2. ‘중화 문화’의 내용과 그것에 입각한 정통론적 인물·역사관
3, 조선후기 정통론에 입각한 삼국지 인물 평가 : 제갈량에 대한 평가 변화를 중심으로
4. 관왕묘 치제의 성격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최근 조선후기 중화주의에 대한 연구는 조선후기 정치·사상사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이슈로 떠오른 상황이다. 논자간의 논쟁과 토론이 오가면서 새삼 그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평가가 주목받고 있는 ‘조선중화주의론’의 대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학술적 차원에서 조선중화주의론을 체계화 시킨 것으로 정옥자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정옥자는 기존의 유교망국론과 정체론적 인식에 입각해있던 조선후기 정치사 이해를 새롭게 조망하였다. 즉 기본적으로 조선후기 정치사의 전개는 밥그릇 싸움이나 관념적 사변에 입각한 것이 아니라 인조반정 이후 성리학으로 대변되는 의리론적 가치의 확산과 맞물려 있었다는 것이다. 이런 양상은 17세기 중반 명·청 교체과정에서 청에 대한 척화론과 북벌론(대청복수론)을 제기하는 것으로 나아갔으며, 현실에서 명나라가 멸망한 이후에는 유교문화를 담지한 조선이 명나라의 후계자가 되었다는 존주론(대명의리론)이 대두 되는 데에 이르렀다. 이러한 존주론의 대두는 조선이 중화문명의 수호자로서 자리매김한 것을 의미하며 조선의 문화적 자부심의 고취와 더불어 기존의 소중화의식이 조선중화주의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것이다.
이후 이러한 존주론, 대명의리론에 기반을 둔 조선중화주의론은 조선후기 정치사상사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로 다뤄졌다. 한편 사상사적 차원에서 조선중화주의에 대한 이해를 보다 심화시킨 것으로 우경섭의 연구를 들 수 있다. 그는 그동안 18세기를 위주로 다뤄졌던 조선중화주의가 17세기 후반에 이미 성립되었음을 송시열의 사상을 통하여 설명하였다. 즉 송시열의 화이론과 도통론을 통해 조선중화주의의 문화적 성격에 주목한 것이다.
한편 이후 계승범에 의해 기존의 조선중화주의 연구에 대한 전면적 비판이 가해지면서 논쟁이 촉발되었다. 조선중화주의론에 대해 가해진 비판은 주로 중화개념의 관념성과 비주체성이라는 측면에 주목한다. 즉 조선중화주의는 원래의 중화 개념에서 종족과 지역적 요소를 탈각시킨 방어적 개념이자 현실과 조응하지 않는 대내적 이데올로기였을 뿐이었으며, 문화적 요인이 아닌 변발, 복식 등을 기준으로 한 자의적이고 배타적 화이관의 소산이라는 것이다.
참고 자료
『正宗實錄』
『世宗實錄』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宣祖實錄』
『肅宗實錄』
『肅宗大王 行狀』
『英祖實錄』
『正祖實錄』
『弘齋全書』
李珥, 『栗谷全書』
趙聖期, 『拙修齋集』
徐宗泰, 『晩靜堂集』
宋時烈, 『宋子大全』
李栽, 『密菴集』
유봉학, 『燕巖一派 北學思想硏究』, 일지사, 1995.
정옥자, 『조선후기 조선중화사상연구』, 일지사, 1998.
계승범, 『정지된 시간』, 서강대학교출판부, 2011.
최보라, 「≪朝鮮王朝實錄≫ 가운데 ≪三國志演義≫ 주요 인물에 관한 인식 변화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한종수, 「朝鮮後期 肅宗代 關王廟 致祭의 性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고영진, 「17세기 전반 의리명분론의 강화와 사회경제정책의 대립」, 『역사와 현실』8, 1992.
허태용, 「17세기 후반 正統論의 강화와 『資治通鑑節要』의 보급」, 『韓國史學史學報』2, 2000.
구와노 에이지, 「조선 소중화(小中華)의식의 형성과 전개」, 박충석 외, 『국가이념과 대외인식 : 17∼19세기』, 아연출판부, 2002.
허태용, 「17세기말~18세기초 존주론의 강화와 『三國志演義』의 유행」, 『韓國史學報』15, 2003.
우경섭, 「宋時烈의 華夷論과 朝鮮中華主義의 성립」, 『震檀學報』101, 2006.
우경섭, 「宋時烈의 道統論과 文廟釐正 논의」, 『韓國文化』37, 2006.
김건태, 「이황(李滉)의 가산경영(家産經營)과 치산이재(治産理財)」, 『退溪學報』130, 2011.
김건태, 「19세기 어느 성리학자의 家作과 그 지향 : 金興洛家 사례」, 『韓國文化』55, 2011.
계승범,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와 그 해석 문제」, 『韓國史硏究』159, 2012.
우경섭, 「朝鮮中華主義에 대한 학설사적 검토」, 『韓國史硏究』159, 2012.
하윤섭, 「조선후기 『삼국지』 인물 차용 시조의 유행과 시대적 동인에 대한 탐색」, 『古典文學 硏究』41,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