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성인 케이스입니다.간호진단11개와 간호과정11개입니다.
약물요법과 관련된 출혈위험성
침습적 시술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불안정한 신체상태와 관련된 조직관류장애
조절장애와 관련된 체액불균형위험성
신체적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상
과도한 약물섭취와 관련된 간기능 장애
의식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젖은 신체와 관련된 비정상적 체온변화
비위관, 인공호흡기 삽입과 관련된 구강점막 변화
약물섭취와 관련된 급성혼돈
무기력과 관련된 자살 위험성
병명에 맞게 맞는 간호수행과 이론적근거 기입해놓았습니다.
CBC혈액검사와 알맞는 약물도 같이 첨부되어있습니다.
또한 간호진단에 맞는 주관적,객관적자료도 같이 넣어놓았습니다.
목차
1. 문헌 고찰2. 사례 연구
1) 일반적인 정보
2) 임상관찰기록
3. 임상 검사
4. 사용 약물
5. 간호 과정
1) 자료 분석 용지
2) 간호 진단 기록지
3) 간호 계획 기록지
본문내용
1. 문헌고찰• 진단명
Organophosphate. Pyrethroid intoxication
• 정의
- 고의 혹은 실수로 치료적 약물을 과량 복용하여 약물이 나타내는 치료적 효과 외의 독성 부작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견되는 상태.
- 학령기 이전의 소아 : 치료적 약물이 아닌 가정 내 물질(비누, 화장품 등)에 실수로 노출되는 ‘무독성 노출 혹은 복용(Nontoxic exposure or ingestion)’이 가장 흔하며, 이 경우 대부분 별다른 처치 없이 관찰할 수 있는 안전한 경우이다.
- 청소년기 이상 : 대부분 자살을 시도하는 등의 의도적인 경우가 많다.
약물 중독은 자살 발생률이 높은 청소년기와 노년기에서 그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 원인
- 처방된 양보다 과량 복용.
- 음독물질 복용
- 흡입, 점막이나 피부, 혈관 주사 등으로 다양함.
• 증상
- 마약성 진통제/수면제 : 의식저하, 호흡억제
- 교간신경 항진제(코카인,암페타민) : 흥분 상태, 동공 확장, 식은땀, 맥박수 증가, 혈압 상승
- 콜린성(유기인계 혹은 카바메이트 살충제) : 침, 눈물, 식은땀, 구역, 구토, 배뇨, 설사, 근력저하, 기관지루(기관지 분비물 증가), 호흡 곤란
- 항콜린성 : 의식저하, 동공확장, 건조하고 붉은 피부, 요저류, 장운동 저하
- 살리실산(아스피린) : 의식 저하, 과호흡, 이면, 맥박수 증가, 구역, 구토
- 저혈당(인슐린, 혈당강하제) : 의식저하, 식은땀, 맥박수 증가, 혈압 증가
- 세로토닌성 : 의식 저하, 근긴장도 증가, 발열
• 사정
- 무엇을 먹었습니까? 무엇이든 약물 복용을 증명할 수 있는 것이였습니까?
- 얼마나 먹었습니까?
- 복용한 시간은 언제입니까?
- 중독의 경로는 무엇입니까?(섭취, 정맥, 피하, 흡인 등)
- 우울증, 정신분열증, 약물남용, 알코올중독의 경험이 있습니까?
• 진단 검사
병력상 어떤 약물에 노출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하며, 약물에 따라 혈액 혹은 소변 검사를 통해 중독된 약물을 확인하여 진단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