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인이론과 귀인이론의 적용사례(귀인이론을 통해 본 행동의 원인과 책임), Heider와 Weiner의 내적/외적 귀인,Kelly의 귀인이론과 공변원리,Seligman의 학습된 무기력과 긍정심리학
- 최초 등록일
- 2018.04.18
- 최종 저작일
- 2018.04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귀인이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귀인이론을 적용시켜 각각의 사례를 알아보았습니다.
참고하셔서 좋은 성과내세요.
목차
Ⅰ. 서론
Ⅱ. 귀인이론
1. 귀인의 개념
2. Heider와 Weiner의 내적/외적 귀인
3. Kelly의 귀인이론과 공변원리
4. Seligman의 학습된 무기력과 긍정심리학
Ⅲ. 귀인이론의 적용사례
1. 취업을 위한 면접에서의 결과
2. 학기 중 특정 과목에 부여받은 성적, 학점
3. 다이어트 성공, 실패 여부
4. 소개팅을 통한 이성 교제
5. 사례들의 긍정적 발달을 위한 행동
Ⅳ. 결론
본문내용
Ⅲ. 귀인이론의 적용사례
1. 취업을 위한 면접에서의 결과
대부분의 대학 졸업 예정의 대학생들은 다양한 분야의 기업에 취업하기 위해 시험이나 면접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누군가는 수차례의 면접 만에 합격해 원하는 직장을 갖게 되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수십 차례에 걸쳐서 쓰디쓴 실패를 경험한다. 합격과 불합격의 차이는 어떤 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해당 지원자는 어떻게 귀인 과정을 거쳐 판단을 할 수 있을까. 예로 다음과 같은 귀인 요소들을 떠올려 볼 수 있다.
<추정 가능한 귀인 요소 집합>
귀인 요소 차원
배경지식 수준 내재적 안정적 통제가능
외국어 구사능력 내재적 안정적 통제가능
대외활동 경험 유무 내재적 안정적 통제가능
전공, 학벌 내재적 안정적 통제불가능
얼굴의 첫인상 내재적 안정적 통제불가능
옷차림 내재적 가변적 통제가능
기업 분야 외재적 안정적 통제불가능
면접 준비 시간 외재적 가변적 통제가능
면접관의 선호 가치 외재적 가변적 통제불가능
경쟁자들의 능력 외재적 가변적 통제불가능
당일 컨디션 외재적 가변적 통제불가능
그렇다면 면접에서 성공, 즉 합격한 예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만약 면접에서 성공적 결과를 얻는다면, 당사자는 다음과 같은 긍정적 귀인을 할 수가 있다.
➀‘내 첫인상이 좋았기 때문이야’
➁‘내 전공과 학벌이 마음에 들었나 보네’
➂‘외국어 구사능력이 뛰어난 게 강점이 된 것 같아’
➃‘배경지식이 많은 걸 좋게 평가했나 보다’
➄‘면접 준비 시간이 적합해서 제대로 준비할 수 있었던 것 같아’
➅‘오늘 컨디션이 얼마나 좋던지!’
➆‘지원한 분야와 내가 잘 맞았던 것 같아’
➇‘다른 경쟁자들이 상대적으로 긴장했던 것 같아’
이중, ➀,➁,➂,➃가 내적귀인에 해당되고, ➄,➅,➆,➇는 외적귀인에 해당된다. 이러한 다양한 귀인들이 존재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보통 면접과 같은 개인적 성취에 성공한 사람들은 그러한 성취에 대한 원인을 내적귀인에 돌리는 경향이 강하다.
참고 자료
교육심리학, 공동체, 2007
교육심리학, 학지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