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연구목적 및 필요성
Ⅱ 본론
(1) HMR 정의와 성장 추세
(2) 혼밥족의 등장
(3) HMR과 혼밥족과의 관계
① 변화하는 HMR 트렌드
② 혼밥족의 HMR 소비 행태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연구목적 및 필요성
우리나라의 급속한 경제 성장에는 여성의 사회진출, 1인 가구의 증가, 고령화 추세 등 사회적 변화가 뒤따르고 있다. 여성의 사회진출은 전통적인 가구의 형태를 바꿔놓았다.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고, ‘전업주부’라는 단어보다는 ‘커리어우먼’이란 단어가 더 많이 주목받고 있다. 1인 가구의 경우, 젊은 세대의 초혼연령이 증가, 고령화 등의 이유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인구 주택 총 조사에 의하면, 2015년의 1인 가구의 비율은 전체 가구 중 27.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2025년까지 31.9%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노인 1인가구 증가 ‘고달픈 인생’”, 『한국경제TV』, 2016.
서울 1인 노인가구 비율은 2014년 기준 전체의 36.4%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더욱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전조 현상으로 보여진다. 여성의 사회진출과 고령화추세, 초혼연령의 증가 등에 따른 1인가구의 증가는 식품산업과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 구매 경향에 영향을 미친다. 이계임,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식품시장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pp.3~9.
식품산업의 제조업 부문에서는 소분·소용량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간편 조리식품, 가정식사대용식(Home Meal Replacement, 이하 HMR)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유통업과 외식부문에서는 편의점 수요 확대, 인터넷 슈퍼마켓 등 온라인 채널 확산, 배달 및 테이크아웃 시장 확대 등의 경향을 보인다. 또한 1인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소비 성향과 구매 경향에도 변화가 생겼다. 바쁜 일상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식품을 소비하는데 있어서 편리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보인다. 주변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편의점에서는 1인 가구 소비자를 주요 타깃으로 삼는 HMR 제품들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뿐만 아니라, 혼자서 끼니를 해결하는 혼밥의 문화가 새롭게 정착되고 있다.
참고 자료
홍종영, 『한국 HMR 사업 오늘과 내일』, 한수협 출판사, 2002
박현미, 『나 홀로 미식 수업 : 먹는다는 건, 진짜 나를 알아가는 과정이다』, 2015.
남자숙, 김태희, 「HMR 이용고객의 구매특성 및 제품 선호도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2015.
이상의, 「편의식품을 바라보는 대학생 소비자의 선택속성 연구」,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7.
박현길, 「솔로 이코노미」, 한국마케팅연구원, 2016.
김연아, 윤혜원,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싱글족의 편의점 편의식품 만족도와 재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2014.
이선일, 「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도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5.
정혜원, 「혼밥소비자의 자기결정권 고독동기와 혼밥외식성향이 혼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이민진, 「냉동가공식품에 대한 이미지와 식품·영양표시의 인식도 : 식품업계 종사자와 일반인과의 비교」,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양교육 전공, 2009.
“노인 1인가구 증가 ‘고달픈 인생’”, 『한국경제TV』, 2016.
MTN, “아직도 ‘혼밥’하기 부끄러운가요?”, NAVER 포스트, 2015.
사이다경제, “장수상품의 비밀① ‘맨밥을 누가 사먹냐’했는데… 17억개 팔아치운 햇반”, 2017.
이상헌, 김종관, 「HMR시장 본격적인 성장단계에 진입할 듯」, 『이슈브리프』, 2015.
MTN, “아직도 ‘혼밥’하기 부끄러운가요?”, NAVER 포스트, 2015.
이계임,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식품시장 영향과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박성우, 김신재, “가정편의식(HMR) 시장규모 5년 사이 51.1% 성장”, 농림축산식품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