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간호과정
1) 간호 문제 목록
2) 간호진단 목록
3) 간호진단
4) 간호계획
5) 간호수행
6) 간호평가
7)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환에 대한 고찰
1. 정의
성인에서는 발열이나, 저체온, 빈맥, 빈호흡, 비정형 또는 미성숙 백혈구의 증가 중 2가지 이상이 환자에서 나타나는 경우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SIRS)으로 진단되며, 원인이 감염으로 밝혀질 경우를 패혈증으로 확진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을 소아 특히 신생아에게 적용시키기는 어려우나 감염으로 인한 대사성 및 혈역학적 증상에 근거를 둔 패혈증의 개념은 중요하다. 아기가 처지거나 잘 안먹으려 하고, 구토나 설사, 복부팽만, 호흡곤란, 발열 등의 전신 증상이 있으면서 혈액 배양검사에서 세균이 발견되었을 경우에 패혈증이라고 한다.
2. 원인과 병태생리
미숙아들은 태반의 보호로부터 일찍 분리되어 각종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및 기생충 감염에 이환되기 쉽다. 만삭아는 재태 기간 이후 후반기에 어머니로부터 면역물질인 IgG를 전달받아 병원규네 수동적인 면역 방어를 할 수 있다. 그러나 미숙아들은 이러한 면역체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조기에 태어나기 때문에 소량의 IgG만 갖게 된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항하는 IgA와 그람 음성균에 대항하는 IgM의 함유량도 매우 낮아서 병원균에 쉽게 감염된다.
보체는 항원이 들어오면 작용하는 것으로 항체 기능을 도울 뿐만 아니라 보체 스스로 세포분해, 식균작용 증진, 염증반응 활성화 및 면역복합체의 제거 등과 같은 작용을 하는데, 신생아의 면역 체계 qhp 양이 작고, 백혈구의 식균 작용이 감소되며, 백혈구가 비효율적이고 양이 적어 일시적으로 취약하다.
・ 일반적인 원인균: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균 드물게 protozoa가 신생아 패혈증을 유발한다.
・ 조발형(early onset) 패혈증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Group B streptococci(GBS)와 산모의 생식기로부터 온 장내 세균(enteric bacteria)이며, 지발형(late onset)은 GBS, herpes simplex virus(HSV), enterovirus, E. coli K1 등을 들 수 있다.
참고자료
· 김미예, 구현영, 권인수, 김성희 외 7인(2014).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 김미예, 구현영, 권인수, 김태임 외 12인(2014). 신생아 간호학. 수문사
· 김미예, 권인수, 김성희, 김진선 외 5인 (2014). 아동간호학개론. 수문사
· 박은영, 송미령, 류은정, 고 영 외 2인 (2017).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main.asp
· 조경숙, 김희경, 박순옥, 배영숙 외 6인(2016).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 성미혜, 강정희, 구윤정, 권경희 외 7인(2014). 간호과정(개정판). 정문각
· 임난영, 이강이, 공은숙, 이영휘 외 4인(2016) 건강사정. 현문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