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법제] 사회복지법의 개념과 특징, 사회복지법 접근방법, 사회복지법원,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변화
- 최초 등록일
- 2018.03.16
- 최종 저작일
- 2018.03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목차
I. 사회복지법의 이해
1. 사회복지법의 개념
2. 사회복지법의 특징
II. 사회복지법의 접근방법
1. 형식적 의미의 사회복지법
2. 실질적 의미의 사회복지법
3. 두 가지 접근방법의 평가
III. 사회복지법원
1. 사회복지법원의 개념
2. 성문법으로서의 법원
1) 헌법
2) 법률
3) 명령(시행령)과 시행규칙
4) 조례와 규칙
5) 관리운영기구의 규칙, 지침
6) 국제법
3. 불문법으로서의 법원
1) 자연법
2) 관습법
3) 판례법
4) 조리법
IV. 사회복지법의 체계와 변화
1. 사회복지법 체계 2. 사회복지법의 변화
1) 욕구에 의한 사회복지법의 변화
2) 사회변동에 의한 사회복지법 이념의 변화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사회복지법의 이해
1) 사회복지법의 개념
사회복지법은 사회적 기본권 사상이 대두됨에 따라 시민법 체계가 크게 수정되게 되었고, 그 결과 사회법의 일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사회복지법은 사회문제와 사회경제적 약자의 사회생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발생하였다.
사회복지법 개념을 파악할 때 가장 먼저 고찰해야 할 것은 사회복지법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는가 하는 일이다. 왜냐하면 사회복지법의 개념을 먼저 규정하여야만 사회복지법의 연구대상과 연구범위를 확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은 여러 학자들도 견해를 같이하고 있다.
사회복지법의 개념을 파악할 때 민법전이나 형법전과 같이 형식적 개념을 유도할 수 있는 법 체제가 성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형식적 개념 규정이 명확하지만 일반적인 법전이 제정되어 있지 않는 사회복지법에서는 적어도 그와 같은 의미의 형식적 개념을 정립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형식적 의미의 사회복지법 개념을 규정할 수 없기 때문에 어떤 특정의 기준을 제시하여 사회복지법의 개념을 파악해야 한다.
일부 학자는 사회복지법을 사회복지법규로 보고 사회복지법규의 개념을 사회복지와 법규라는 용어가 복합된 개념으로 파악하고 있다. 즉 사회복지 법규는 사회복지가 하나의 국가제도로서 법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국가제도로서 사회복지를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법의 개념 규정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박석돈은 사회복지가 국가와 국민간의 권리와 의무의 관계로 등장하고 있음을 국가가 인정하고 또 사회복지를 구현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사업들을 공익에 맞게 보호하고자 하는 뜻으로, 국가가 이를 법의 형태로 제도화한 것이 사회복지법규라고 이해하고 있다. 사회복지의 법적, 제도적 장치가 사회복지법이라고 한다면, 사회복지를 구현하고자 하는 개별 법률들을 사회복지법으로 파악하여 개념을 규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사회복지법은 사회복지를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제도, 기구, 기관 및 시설, 권리, 의무 등을 규정한 개별 법률이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현대 복지국가의 사회복지교육 : 현외성 저, 공동체,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