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암의 정의2. 위암의 원인
3. 위암의 병태생리
4. 증상
5. 검사 및 진단
6. 위암의 치료
7. 합병증 및 예후
8. 간호 중재
9.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위암의 정의위암이란 위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을 말한다. 위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위선암은 위벽의 점막층에서 발생하며, 혹의 형태로 커지면서 위벽을 침범하며, 위 주위의 림프절에 암세포들이 옮겨가서 성장하는 일이 흔하다. 더욱 진행하면서 주위의 간, 췌장, 십이지장, 식도 등으로 직접 침범하거나, 암세포가 혈관이나 림프관을 타고 간, 폐, 복막 등 멀리 떨어진 장기로 옮겨가 성장할 수 있다.
위암은 조기위암과, 진행성 위암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조기위암은 암세포가 점막층과 점막하층 이내에 국한된 경우이다. 진행성 위암은 암세포가 점막하층을 지나 근육층 및 그 이상의 단계로 퍼진 경우이며, 주변 장기로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2. 위암의 원인
위암은 기존의 관련 질병, 가족력,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다.
3. 위암의 병태생리
위의 악성 종양 중 95%가 선암으로서 일반적으로 위암이라고 할 때는 선암을 가리킨다. 위암은 분문부에서 유문부 사이 어느 곳이든 점액 분비 세포에서 발생할 수 있는데 대부분(75%)이 유문부나 유문하, 즉 위의 하부 1/3에 있으며 18%가 소만곡부를 따라 발생하고 3%가 대만곡부에 발생한다. 체부에는 덜 발생하고 분문부에는 가장 적게 발생한다.
위선암은 다시 두 군으로 나눌 수 있는데, 미만형은 세포의 점착력이 없으므로 개별적인 세포들이 침윤하여 명확한 종괴의 형성 없이 위벽의 비후를 유발하고, 장형은 점착력이 있는 암세포들이 특징적인 관상구조를 형성한다. 미만형 위암은 젊은 층에 호발하며, 분문부를 포함한 위의 전장에 걸쳐서 발생하므로 위벽의 신전도가 감소되며, 그 예후 또한 훨씬 불량하다. 장형 위암은 흔히 궤양을 형성하며, 위의 전정부와 소만부에 주로 발생하며 장기간 동안의 전암병변이 선행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미만형 위암의 발생률은 전 세계적으로 비슷하지만, 장형 위암은 고위험지역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발생하고, 위암의 발생이 감소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흔하지 않다. 그러므로 이 두 유형에는 서로 다른 원인인자가 작용할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 자료
Braunward 외 5명, 2004, 내과학, 도서출판 MIP조경숙 외 9명, 2013, 『성인간호학』, 현문사
전시자 외 9인. 2006.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이향련 외 다수, 성인간호학1, 현문사, 2008
김금순 외 다수, 성인간호학 1, 수문사, 2012
김명자 외 다수, 기본간호학 상, 현문사, 2009
김명자 외 다수, 기본간호학 하, 현문사, 2009
김화순 외 다수, 기본간호학 실습, 현문사, 2010
김미숙, 김혜숙 등 공저, 2013, 최근 경향에 맞춘 암등록, 고문사
김노경, 1992, 암의 진단과 치료, 대한의학협회
홍근표 외 2명, 1997, 『암 간호-원리와 실제』, 수문사
김노경 외 15명, 1999, 『암 백과』, 민중서관
MEDIC MEDIA, 간호사, 학생간호사를 위한 왜, 무엇을&어떻게, 2012, 의학서원
김노한 문유윤 실자복 공저, 1997, 암환자, 수문사
연세 세브란스병원 영양팀 CJ프레시웨이, 2011, 위암 수술후 식사 가이드, 싸이프레
[네이버 지식백과] 위선암 [gastric adenocarcinoma]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서울대학교병원)
국가암정보센터, - www.cancer.go.kr/-
국립암센터, - www.ncc.re.kr/-
대한의학회 - www.kams.or.kr-
국가건강정보포털 health.mw.go.kr
http://www.amdoctor.com/total_search.aspx?searchbox=위암&searchgubun=3-
http://www.hanbitmedical.com/bbs/view.php?id=bnti1&page=1&sn1=&divpage=1&sn=off&ss=on&sc=on&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0&PHPSESSID=35b57fefc5d0602bf8e2de24435d521-
http://www.samsunghospital.com/medical/diseaseSub01.do?ds_code=D0001709&content_id=1233&cPage=4&SW=%C7%C7%B7%CE-
http://minggu79.tistory.com/39-
http://dr.ksib.co.kr/news/articleView.html?idxno=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