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
▶항원antigen
▶항체antibody
<면역글로불린의 종류와 특성>
① IgG
‣존재부위: 혈장, 조직액
‣작용: 세균이나 바이러스, 독소 등을 방어 /보체 활성화
‣태반통과여부: 통과함
② IgM
‣존재부위: 혈장
‣작용: 수혈 시 적혈구막 혈액항원에 대한 항체를 형성/보체 활성화
‣태반통과여부: 통과 못함
③ IgA
‣존재부위: 외분비물, 혈장
‣작용: 혈액항원에 대한 항체 형성
‣태반통과여부: 통과 못함
④ IgD
‣존재부위: B세포의 표면
‣작용: B세포의 활성화
‣태동통과여부: 통과 못함
⑤ IgE
‣존재부위: 외분비물
‣작용: 염증과 알레르기 반응
‣태동통과여부: 통과 못함
<항체의 작용>
1) 직접 부착
①응집agglutination: 항원이 덩어리 형성
②침강precipitation: 항원이 불용성 침전을 형성
③중화neutralization: 항원의 독성이 약화됨
2) 보체 활성화
①옵소닌화opsonization: 식작용이 일어날 수 있도록 세포막을 변형시킴
②주화성: 호중구와 대식세포를 끌어당김
③염증: 감염 확산을 막음
④용해: 세포막을 녹여 파괴함
<면역질환>
▶과민반응 hypersensitivity reaction
1) 제Ⅰ형 과민반응(아나필락시스형)
- IgE항체가 생산됨으로써 일어나는 반응
- 항원: 꽃가루, 먼지, 우유, 페니실린
2) 제Ⅱ형 과민반응(세포상해형)
- 세포용해성, 세포독성과민반응
- 항원에 항체(IgG, IgM)결합→ 보체작용→ 대식세 포나 자연살해세포 등이 결합하면서 세포 파괴
- 자가면역용혈빈혈, 하시모토병
ABO부적합 수혈에 의한 용혈빈혈
3) 제Ⅲ형 과민반응(면역복합형)
- IgG, IgM관여
- 항원과 항체가 결합하여 형성된 면역복합체가
혈액속을 흘러다니다가 모세혈관 등에 침착해서 보체를 활성화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반응
- 자가면역질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