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3) 출생 후 평가(검사)
4) 임상증상
5) 경과 및 합병증
6) 치료관리
7) 간호중재
Ⅱ. 간호과정
1. 신생아 간호사정
1) 산모와 관련된 정보
2) 신생아와 관련된 정보
3) 신체사정
4)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5) 의학적 치료 및 경과
6)기타 사정자료
2.간호진단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임신성 당뇨(Gestational Diabetes Mellitus)는 고혈당의 정도와는 무관하게 임신 중 발견되거나 생긴 내당능 이상(당뇨의 전 단계로 공복 시 혈당치가 110~120mg/dl인 상태)을 의미한다. 산모가 임신 중 혈당이 조절되지 않으면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끼쳐 거대아, 신생아 황달, 신생아 저혈당, 호흡곤란증, 홍반증과 같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NICU병동에 이런 GDM인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가 있어 이번 CASE를 통해 GDM의 정의, 원인 및 증상, 예방법 등을 알아보고 GDM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들을 관찰하고 자세히 알아보고자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2. 문헌고찰
1) GDM (임신성 당뇨병) & 신생아 저혈당증(hypoglycemia)
* GDM (임신성 당뇨병)
임신 전에는 발견되지 않았던 당뇨병이 임신 중에 처음 발견되는 경우
임신 중 태반에서 분비되는 여러 가지 호르몬들이 혈당조절에 필요한 인슐린 작용을 억제하여 혈당 상승
(당뇨의 전 단계로 공복 시 혈당치가 110~120mg/dL인 상태)
임산부의 약 1~3%에서 임신 2기 또는 3기에 나타남
위험요인 : 30세 이상, 비만,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임신성 당뇨의 과거력, 거대아 분만력, 원인미상의 사산반복
* 신생아 저혈당증(hypoglycemia)
혈장 포도당의 농도가 정상 신생아의 출생 후 나이별 정상 혈당의 범주보다 현저히 낮은 경우
Holtrop (1993)은 만삭아에서 출생 후 3시간 내에 혈청 혈당치가 35mg/dl 미만,
3~24시간까지는 40mg/dl, 생후 24시간 이후에는 45mg/dl 미만을 저혈당증으로 정의함
포도당은 뇌 대사에 필요한 주된 물질로, 신생아 저혈당증은 신경세포와 신경교세포 모두에 손상을 입혀 심한 장애나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고, 저산소증이나 허혈증은 저혈당증에 의한 뇌손상을 더욱 촉진시킴
참고자료
· 김영해 외 12명 (2015) 아동간호학, 현문사
· 박은영 외 5명 공역 (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
· 약학정보원 drug info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