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2. 프로그램의 목적
3. 프로그램의 내용 및 중재방법
4. 프로그램 중재효과
5. 프로그램 평가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농촌지역 비만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습관 개선 프로그램
비만, 생활습관 개선으로 건강더하기!
프로그램의 목적
대상집단과 사업 연계의 적절성
- 2013년도 학교건강검사 표본조사 결과’에 의하면 초중고 학생 전체 비만율은 2012년(14.7%)보다 0.6% 증가한 15.3%이었다. 초등학생의 비만율이 14.4%, 중학생 15.1%, 고등학생 17.0%로 학년이 높을수록 비만율도 상승하였다,(교육부,2013)
- 소득 상위 25%의 소아청소년 비만율은 6.6%→5.5%로 감소한 반면, 하위 25%에선 5.0%→9.7%로 2배 가까이 급속하게 늘어났다.(국민건강영양조사, 2009)
- 초·중·고등학생의 비만율은 14.7%로 전년보다 0.4%p 증가했고 고도비만 학생의 비중은 1.4%로 나타났다(통계청,2012)
참고자료
· 정형숙(2009). 비만 초등학생의 식생활습관 영양지식 비만지식의 정도와 비만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영양교육 방법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희순 외(2013). 비만아동을 위한 정서적 자기조절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혼합방법론의 적용.Child Health Nursing Research,19(3), 187-197
· 김경희(2009).체중조절 프로그램이 비만아동들의 식습관, 식행동 및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14(5), 509-520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