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실질(腦實質)에서 생기는 종양 이외에도 뇌막, 뇌하수체(腦下垂體) 등의 내분비선, 뇌신경에 발생하는 종양 등을 모두 포함한다. 두개내종양(頭蓋內腫瘍)은 원발성(原發性)인 것과 전이성(轉移性)인 것으로 나뉜다.
원발성 종양은 그 최초의 발생부위 및 종양세포에 따라 병리학적으로 세분되어 있다.
진성 뇌종양과 만성 뇌종양 그리고 기생충 ·매독 ·결핵 등에 의한 육아종(肉芽腫)도 두개내종양으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뇌종양은 그 위치에 따라 특이한 증세를 나타내기 때문에, 크게는 소뇌천막(小腦天幕:대뇌와 소뇌의 중간에 있는 뇌막)의 위와 아래의 종양으로 나눈다.
일반적으로 성인에게는 천막상종양(天幕上腫瘍)이, 소아에게서는 천막하종양(天幕下腫瘍)이 나타난다.
대표적인 뇌종양 중에는 뇌실질에서 발생하는 신경교종(神經膠腫:glioma)이 가장 많고, 수막종(髓膜腫:meningioma) ·뇌하수체선종(腦下垂體腺腫) ·신경초종(神經鞘腫)의 순으로 발생된다. 연령적으로 보면 대뇌신경교종이나 수막종은 성인에게 많고, 소뇌신경교종은 소아에게 많다. 그 밖에 두개인두종(頭蓋咽頭腫)도 소아에게 많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있는데 남성에게는 송과선종(松果腺腫) ·혈관종(血管腫) ·수아세포종(髓芽細胞腫)이 많고, 여성에게는 신경초종이나 수막종이 많다.
뇌종양의 증세는 두개내압고진증(頭蓋內壓高進症)과 침해된 뇌 부분에 상당하는 신경탈락증세 또는 자극증세를 나타낸다. 두개내압고진증이란 두통 ·구토 ·울혈유두(鬱血乳頭) 등으로, 옛날부터 두개내종양의 세 가지 주요한 증세로 알려져 있다.
그 밖에 경련발작 ·의식장애 ·정신장애를 수반하는 일이 많다. 진단은 신경학적 진단이 중요하며, 보조진단으로는 두개(頭蓋) ·뇌혈관(腦血管) ·기뇌(氣腦)를 X선 촬영하는 것 외에 뇌파나 초음파 검사, 동위원소를 써서 검사하는 뇌스캐닝 등을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Ⅱ. 뇌종양의 원인
1. 유전자 발현의 변화
유전자들은 정상세포의 생리적 기능을 유지하지만 그 기능에 변화가 생길 때 정상세포를 종양세포로 변화시키는 인자로 작용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