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고위험 임부 간호
1. 고위험 임신
2. 임신 중 출혈성 합병증
1) 임신 전기 출혈
2) 임신 후기 출혈
3) 출혈과 관련된 문제
3. 임신 중 고혈압성 장애
1) 임신성 고혈압(PIH)
2) 만성고혈압
4. 임신과 관련된 질환
1) 당뇨병(Diabetes Melitus, DM)
2) 갑상선 기능 장애(Thyroid gland disorder)
3) 심장질환(Heart disease)
4) 혈액학적 장애(Hematologic disorders)
5) 임신 오조증(Hyperemesis gravidarum)
Ⅱ. 고위험 산부 간호
1. 분만관련 건강문제
1) 난산
2) 조산
3) 지연임신과 과숙분만
2. 대안적 분만과 간호
1) 유도분만
2) 회음 절개술
3) 겸자분만
4) 흡인분만
5) 제왕절개
6) 자궁내막 소파술
3. 태아 부속물 관련 건강문제
1) 융모양막염
2) 양수과다증
3) 양수과소증
4) 제대탈출
5) 제대동맥의 선천성 이상
6) 제대부착의 이상과 전치혈관
7) 제대길이의 이상
8) 태반경색
9) 유착태반
4. 응급성 분만 관련 건강 문제
1) 쇼크(Shock)
2) 파종성 혈관 내 응고장애(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3) 양수색전증(Amniotic fluid embolism)
4) 자궁파열(Uterine rupture)
5) 자궁내번증(Uterine inversion)
6) 자궁탈수증
본문내용
1) 융모양막염
• 융모, 양막, 양수 및 태아와 관련된 감염상태를 말한다.
• 경로: 질 또는 파열된 막, 태만, 나팔관 (정상: 점액성 plug로 보호)
(1) 특징
● 초기에 일반적 감염증상(과호흡, 빈맥, 38도 이상의 고체온)이다.
● 태아 심음 변화, 전신성 근육통, 오한, 탈진, 자궁 압통감 증가, 양수 혼탁(화농성, 불쾌한 냄새)이다.
➜ 자궁근 감염 시 자궁압통과 이상진통 유발한다. ➜ 수축미약 ➜ 지연분만 초래한다.
(2) 진단
① 임상증상
② 양수천자, 양수배양: glucose 저하 (백혈구와 세균이 glucose 소비하기 때문)한 다.
③ 태반 현미경 검사, 미생물 검사한다.
(3) 치료 및 간호중재
● 산부와 태아의 상태 관찰한다.
● 감염관리: 항생제, 해열제(아세타미노펜) 투여한다.
● 탈수와 케톤증 동반가능: I/O 측정한다.
● 질식분만 선호: 제왕절개 후 합병증 위험 높다.
● 분만촉진: 진통 이상이 흔하므로 옥시토신이나 자궁수축 촉진제 사용한다.
● 분만 후 산모: 패혈증, 복강염, 골반농양, 혈전성 정맥염 등 위험증가한다.
● 신생아: 폐렴, 중이염, 패혈증 등 위험 높다.
➜ 배양검사(피부, 위, 내용물), 예방적 항생제, 패혈증 여부 관찰, 격리간호 필요하 다.
2) 양수과다증
(1) 정의
양막낭에 축적된 양수가 2L이상으로 많은 급, 만성 상태(정상: 600~1,200cc)이다.
(2) 원인
① 무뇌증, 척수이분증과 같이 신경조직이 노출 된 경우이다.
② 태아의 선천성 식도폐쇄, 십이지장 폐쇄증 등 이다.
③ 다태아: 혈액을 받는 태아의 소변량 증가이다.
④ 임신성고혈압, 모성의 심장질환, 모성의 당뇨병, Rh동종면역, 뇌수종 등의 중추신경계기형 및 거대 태아, 태반이상 등 이다.
(3) 증상 및 징후
• 임신 후반기에 시작(임신 32주 이후에 시작하는 만성형이 대부분)한다.
① 호흡곤란: 호흡곤란, 청색증, 심박급속, 기좌호흡이다.
② 부종: 하대정맥 앙박에 의한 하지, 음순, 하복부 부종➜ 체중증가 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