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나라의 은유통에 따른 일조편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조편법의 성립배경과 시행, 그리고 장거정의 개혁정치를 주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은유통의 확대
1. 농업생산력의 발달
2. 상업의 발달
3. 화폐의 발달
4. 외국 은의 유입
5. ‘자본주의 맹아’론
Ⅲ. 조세제도의 개혁과 일조편법
1. 명초의 세역제도
2. 세력의 은납허용
3. 일조편법의 시행
4. 장거정의 개혁정치
Ⅳ. 맺음말
본문내용
1. 생산력의 발달
1) 농업생산력의 발달
명대의 토지제도는 국가 소유의 관전(官田)과 공전(公田) 그리고 민전(民田)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관전의 경영형태는 둔전제(屯田制)를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 명 초기 둔전의 형태로 는 군둔(軍屯), 민둔(民屯), 상둔(商屯)의 세 가지가 있었다.
둔전의 광범위한 시행과 토지관계의 정비는 가경농지를 확대시켜 농업생산량을 크게 증가 하였다.
농업생산력의 항상은 인구의 증감, 농업기술의 발달, 경작지의 증감, 수리시설의 증감 동을 고려하여야한다.
농업기술의 발달면에서 명대는 농업을 장려하기 위하여 치수와 관개사업을 촉진하였다. 품종개량과 시비법(施肥法)이 개선되어 면적당 단위 생산량을 증가시켰고, 벼의 2모작이 실시되었으며, 중기 이후 영남(嶺南)지방에서는 3모작도 가능해졌다.
지역에 따라서는 벼와 잡 곡의 2모작이 행해졌다. 그러므로 30% 이상의 증가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명대는 홍무제(洪武帝 1368-1398)가 상(桑)․마(麻)․면(綿)의 재배를 백성에게 강제한 이후, 면포는 서민의 의료로서 보편화되어 전국에 걸쳐서 자가소비(自家浦電)를 위한 농가부업으로 전개되었다.
이로써 명대의 특이한 현상으로 농산물의 상품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었고 이것 이 상품작물의 전개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2)수공업
명대 경제적 특징의 하나로 들 수 있는 것은 수공업의 다양한 발달이 있었다는 것이다.
명대의 수공업은 국가 직영하의 관영수공업과 민영수공업으로 나눌 수 있다.
관영수공업은 농촌에 이갑제(里甲制)가 실시되었던 것과 같이 수공인(手工人)에게는 윤반 제(輪班制)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이 윤반제는 왕복여비와 체제비의 자가부담, 자가영업손 실, 장역(匠役)감독의 중간 착취, 장인 부재시(不在時) 이갑정역(里甲正役)의 부담 등의 피해 로 인하여 선덕연간(宣德年間 1425-1435)부터 이를 기피하거나 도망하는 사례가 많아졌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