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론)지금까지 살면서 자신이 가장 극복하기 어려웠던 문제(예를들면, 대인관계를 맺거나 유지하는데 있어서의 어려움, 직장에서 상사나 부하 혹은 동료와의 관계에서의 어려움, 가족내에서의 문제, 적응상의 문제, 이성과의 문제, 직업상의 문제, 분노조절의 어려움 등)
- 최초 등록일
- 2018.02.08
- 최종 저작일
- 2018.02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800원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본문내용
사람들은 누구나 삶의 과정에서 힘든 순간을 경험한다. 이는 단기적일수도 있고 장기적일 수도 있지만, 사람들이 힘들어하는 대부분의 이유는 ‘장기적인 스트레스’를 견뎌낼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론에서는 필자가 경험했던 살면서 가장 힘들었던 경험과 그러한 장기화된 경험의 상황 속에서 어떠한 행동을 했는지에 대해서 서술해보고자 한다. 또한, 필자와 동일한 경험을 가진 클라이언트가 있다면 어떠한 방식으로 개입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 서술해보고자 한다.
본론
1. 자신이 살면서 가장 극복하기 어려웠던 문제에 대한 자세한 기술
내가 살면서 아직까지도 가장 극복하기 어려웠던 문제는 아버지와 관련한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아버지는 늘 나의 삶에 애증의 관계였다. 없어서는 안 될 존재였지만, 있다고 해서 나나 가족을 행복하게 해주는 존재도 아니었다.
어렸을 때 아버지는 늘 가족들의 존경을 받는 사람이었다. 아버지가 퇴근할 시간이 되면 모두들 뛰어 나가 아버지를 반겼고, 어머니께서도 항상 그런 아버지에게 오늘도 수고했다는 말을 아끼지 않았다. 아버지는 박식하신 분이었다. 어린 시절부터 나에게 학문적으로 많은 것을 알게 해주셨다.
그렇지만 자라면서, 아버지에 대한 존경심이 없어지게 되었다. 아버지가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서 더 많이 알아갈수록, 아버지에 대한 존경심보다는 어머니에 대한 안쓰러운 마음이 커졌다. 그 전에 우리가 아버지를 그렇게 존경하고 믿어오게 만든 것은 모두 어머니의 덕분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 하지만, 아버지는 자신보다 좋은 집안에서 모든 것을 누리고 사신 어머니에 대해서 열등감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였다. 아버지는 거짓말을 잘 못하는 분이셨다. 그래서 우리에게 거짓말을 하면 서로 말하지 않았지만 저 말이 거짓말일 것이라는 사실을 모두 다 알고 있었다. 차라리 거짓말을 더 잘해서 우리에게 거짓말했다는 사실을 들키지 않길 바랬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참고 자료
박유경. (2013). 내적 두려움에 대한 방어기제 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