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실험목적 : 부유물질은 물중에 현탁되어 있는 입자상의 고형물을 말하며 폐수의 오염도를 검토하는데 쓰이는 중요한 지표 중의 하나이다. 부유물질의 측정 시험은 1차 및 2차 처리와 같은 공정에 있어서 유입 또는 유출되는 부유물질의 부하를 알 수 있게 하며 이에 의해서 폐수의 처리 효율을 결정할 수 있다.
3)실험원리 : 미리 무게를 단 유리섬유 거름종이(GF/C)를 여과기에 부착하여 일정량의 시료를 여과시킨 다음 항량으로 건조하여 무게를 달아 여과 전/후의 유리섬유 거름종이의 무게차를 산출하여 부유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정량범위는 5mg 이상이다.
부유물질(mg/L)=(b-a)*1,000V
a:시료 여과전의 유리섬유 여지 무게(mg)
b:시료 여과후의 유리섬유 여지 무게(mg)
V:시료의 량(mL)
4)기구 및 시약
-여과기
-유리섬유 거름종이(GF/C) : Borosilicate로 만들어진 유리섬유 여지 실험기구. 일반적인 수질오염 분석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여과지. 앞뒷면이 있다. 울퉁불퉁한 면(무작위 무늬)으로 SS를 여과시키고, 뒷면은 십자무늬이다.
-황산건조용기
-50mL 메스실린더
-회화기
5)실험방법
①유리섬유 거름종이를 여과기에 부착하여 물 20mL씩으로 3회 흡인여과하여 씻는다.
②시계접시 위에 놓고 105~110℃의 건조기 안에서 2시간 건조시켜 황산건조용기에 넣어 방랭한다.
③항량으로 하여 무게를 정밀히 달고 여과기에 부착시킨다.
④시료적당량을 여과기에 주입하면서 흡인여과한다.
⑤시료용기 및 여과기의 기벽에 붙어잇는 부착물질을 소량의 물로 거름종이 위에 씻어 내린다.
⑥즉시 거름종이상의 잔류물을 물 10mL씩으로 3회 씻어주고 약 3분동안 계속하여 흡인여과한다.
⑦용존염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시료일 경우에는 세척조작을 2-3회 추가한다.
⑧유리섬유 거름종이를 핀셋으로 주의하면서 여과기에서 끄집어낸다.
⑨시계접시 위에 놓고 105-110℃의 건조기안에서 2시간 건조시켜 황산건조용기에 넣어 방랭한 다음 항량으로 하여 무게를 정밀히 단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