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미술이 사회 속에 지닌 의미와 기능 (국내의 공공조형물(공공미술)의 사례중심)
- 최초 등록일
- 2018.01.28
- 최종 저작일
- 2017.08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4,500원
소개글
공
목차
Ⅰ. 序 言
1. 현대사회에서의 공공미술의 현상
가. 기념조형물
1) 평화의 소녀상
나. 참여로서의 공공미술
1) 코엑스 강남스타일
2)서울로 슈즈트리
다. 장소특수성에서 장소일반성
1) 청계광장 스프링
Ⅱ. 結 語
본문내용
序言
공공미술(公共美術)의 사전적의미는 대중들을 위한 미술을 뜻하며 특별히 일반 대중에게 공개된 장소 또는 지정된 장소에 설치, 전시되는 작품이나 디자인을 말한다.
공공미술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여 그 유형을 조각, 회화, 서예, 공예, 사진, 벽화, 상징조형물, 미디어아트, 동상, 기념비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용어는 영국의 존 윌렛이 1967년 《도시 속의 미술 Art in a City》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아트디렉터와 화상·큐레이터·평론가·수집가 등 소수 전문가들의 예술적 향유가 일반 대중의 미감을 대변하는 것처럼 만들어 소수의 행위를 정당화시킨다는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일반인들의 정서에 개입하는 미술개념으로서의 공공미술을 고안하였다고 말할수 있다.
공공미술은 과거 창작자 중심의 미술에서 벗어나 적극적으로 사회와 관계하며, 공공성을 위한 미술 그 자체가 되어가고 있다. 공공미술의 발전은 이전 조형 기념물이라는 좁은 한계를 극복하고 공공성을 위한 스트리트퍼니처나 지역사회의 역사,문화 그리고 사회를 반영하는 매체로서의 미술의 개념변화를 이끌어 왔다.
미술관과 같은 특정한 장소를 벗어나 우리의 삶과 생활의 영겨으로 확장하고 있는 공공미술은
국내에도 벌써 벽화마을부터 도시 공공조형물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범위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확장의 속도만큼 여러 사회적 구성원들의 불협화음도 많은 실정이며 이는 한때 국내의 여러 공공기관 및 정부, 지자체들이 앞다투어 시행했던 단순한 볼거리로서의 공공미술에 대한 낙후된 인식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글에서는 특히 현대사회에서의 공공미술의 현상-기념조형물, 장소특수성에서 장소일반성,참여로서의 공공미술-에서 바라본 국내 공공조형물들의 사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한다.
이러한 공공미술의 범주속에 포함되는 공공조형물을 살펴봄으로서 먼저 다양한 공공미술에 대한 분류 중에서 공공조형물에 관한 ......<중 략>
참고 자료
공공미술 도시를그리다
현대의 서양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