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이 없기를..’ 대한민국 고등학교 학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만한 유명한 문장이다. 이 ‘서시’를 쓴 윤동주에 관한 영화 ‘동주’를 봤다. 이 영화는 다른 영화와 다르게 모든 장면이 흑백영화처럼 연출되었는데 이는 일본의 식민지였던 우리나라의 아픔과 암울함을 실감할 수 있게 해주었다.
전체적인 영화는 윤동주가 일본 순사에게 취조를 받는 장면과 과거의 윤동주의 모습이 교차적으로 전개된다. 윤동주는 사촌 송몽규와 함께 자랐다. 송몽규는 동주가 원하던 신춘문예에 산문을 써서 당선이 되고 동주가 가고 싶었던 대학에 붙는 등 그는 늘 동주의 동경의 대상이었다. 내성적이고 얌전한 성격을 가진 동주에 비해 몽규는 도전적이고 용기있는 혁명가와 같은 인물이었다. 윤동주는 늘 앞장서서 조국의 독립을 위해 독립운동을 주도하는 송몽규를 의지했고 그와 같이 닮기를 원했지만 앞장 서지 못하고 시로써 조국의 독립을 염원하는 소극적인 자신의 모습을 부끄러워한다. 윤동주도 송몽규처럼 독립운동을 하고 싶어할 때마다 송몽규는 동주에게 계속 시를 쓰기를 권유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