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문서는 한글 2005 이상 버전에서 작성된 문서입니다.
한글 2002 이하 프로그램에서는 열어볼 수 없으니, 한글 뷰어프로그램(한글 2005 이상)을 설치하신 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소개글
실학과 근대성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목적
2) 연구사적 의의
2. 본론
1) 실학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
3. 실학의 범주와 양상
1) 유파의 구분
4.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국내적으로 개혁이 가장 큰 화두로 논의되고 또한 21세기 정보화 사회를 거쳐 4차 산업혁명으로의 변화를 맞이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실학은 한국 사회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까? 이 시점에서 '실학'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는 것은 무의미한 일인가? 이는 결코 아니라고 본다. 기존의 실학 연구는 우리 사상사와 관련하여 더없이 소중한 사실들을 밝혀내었고, 그 성과들은 연구결과로 지금도 많이 활용되고 심층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또 다시 새로운 시대로의 태동을 이어나가는 지금에 실학이 어떤 시사점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는 듯 하다. 또한 한문교과에서는 실학을 교과내용으로 실고 있다. 하지만 실학에 대해 큰 성찰이 있기보다는 다른 학계에 발표에 의존하고 실학이라는 큰 범주 안에서 여러 사상들을 큰 범주 안에서 다루고 있는 실정이기에 실학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논의가 필요하다 보았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논의가 일어날수록 그 시대의 사상에 관한 이해는 더욱 풍성하게 이루어질 것이기 때문에 이후에도 실학에 관한 논의는 개방적으로 해나가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보고서는 실학 개념을 여러 각도에서 개괄하고자 하는 목표를 가지고 실학사상과 관련된 인식론적 관점, 그리고 실학 시대의 문학에서의 성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특히 실학 개념이 포함하고 있는 내용을 주로 문학사의 몇몇 학자들을 중심으로 살피려 한다. 실학 개념을 다각도로 살펴보기 위하여 실학 개념의 정의와 연구방법론에 관한 기존의 성과에 대해서는 논리의 전개 과정 속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연구사 및 연구방법
한국의 역사에서 실학이란 개념은 무분별하게 그리고 포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지금도 실학이란 말을 들으면 유교적인 것에서 벗어난 실용적인 것, 근대적인 것과 연관된 어떤 것으로 떠올리기 십상이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이러한 실학의 범주와 근대성이란 개념에 대해 의구심을 가진다.
실학이 근대 지향적 사상인가를 둘러싼 논쟁은 1950년대부터 진행되어 60년대에 본격화됐다.
참고 자료
임형택, 21세기에 다시 읽는 실학, 성균관대학교, 2003
심경호, 실학 개념의 재정립 : 탐구의 학으로서의 실학, 고려대학교, 2008
김상준, 조선후기 사회와 ‘유교적 근대성’ 문제, 경희대학교, 2003
강미현, 박지원의 소설에 나타난 문학사상 고찰, 전주대학교, 2010
고미숙, 연암의 사유에 있어서 ‘탈 근대적 비전’에 대한 탐구, 한국한문학회, 2005
김미정, 연암 문학의 근대성 연구, 원광대학교, 2010
박수천, 燕巖朴趾源의 漢詩文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5
원유진, 연암 소설의 주제에 대한 일연구, 성균관대학교, 2001
위정철, 존재 위백규와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12
유권종, 한국의 실학과 근대성에 관한 논의, 부산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1
이종문, 燕巖 朴趾源의 漢詩에 關한 한 考察, 한국한문학회, 2007
조덕자, 燕岩思想의 發生과 近代性, 중앙어문학회, 1979
고전번역원
네이버 지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