넛지(Nudge): 똑똑한 선택을 이끄는 힘 독후감
*보*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잘 활용하셔서 좋은 결과 거두세요목차
없음본문내용
“이것은 우리가 인간으로서 문제를 가졌다는 의미가 아니라, 사람들이 체계적으로 틀리는 방식을 통찰함으로써 인간의 행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인간이 체계적으로 틀리는 방식” 39~40p사람들은 보통 어떤 사건에 접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어떤 생각이나 영향을 언어적 혹은 시각적 형태로 신속하게 떠올리게 되는데, 이를 자동적 사고(automatic thoughts)라고 한다(Beck,1976). 즉, 사람들이 경험하는 여러 가지 환경적 자극들과 심리적 문제의 사이에는 자동적 사고라는 인지적 요소가 개입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자동적 사고는 부정적인 정서의 표면인식으로 구성된 고정적이지 않으며 잠정적인 인지로 어떠한 사실을 경험하기 전, 경험하는 동안 또는 경험한 직후 머릿속에 순간적으로 스쳐지나가는 생각이나 심상을 말한다. 이런 생각들은 심사숙고하거나 논리적으로 따져본 생각이 아니며, 비슷한 상황에 처하면 반복해서 떠오르는 경향이 있다. 흔히 자기 진술(self-statement), 자기 말(self-talk), 내적 대화(internal dialogue), 혹은 내면적 언어(covert verbalization)로 불린다(Kendall & Hollon,1981). 자동적 사고는 특정한 상황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으며 자신이 처한 상황의 위협성이나 대처능력 혹은 대처행동의 결과와 관련된 순간적으로 떠오르는 구체적인 생각이나 심상들이다.(권정혜,1993; Fennell,1989).
자동시스템은 신속하고 직관적이며, 혹은 직관적이라고 느껴지며, 주로 ‘사고’라는 단어가 연상시키는 것들을 수반하지 않는다. 날라 오는 야구공을 피하는 행위나 귀여운 강아지를 보고 미소를 짓는 행위 등은 자동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진다.
Beck와 Emery(1985)에 따르면, 자동적 사고의 과정은 개인의 과거 경험들이 추상화되어 축적된 인지적 구조, 즉 인지도식(cognitive schema)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 인지도식이 개인의 긍정적인 과거 경험으로 축적된 경우에는 개인이 심리적 혼란에 빠지지 않을 수 있지만 부정적인 내용들로 구성되었을 경우 심리적 문제에 매우 취약하게 되기 쉬워 정신 병리를 유발할 수 있다.
참고 자료
강준만(2013).『감정독재 (세상을 꿰뚫는 50가지 이론)』.인물과 사상사.고바야시 마사야(2003).『정의사회의 조건-마이클 샌델의 정치철학』.황금물고기.
김영석(1997).『멀티미디어와 정보사회』.나남출판.
김영석(2005).『설득커뮤니케이션』,나남출판.
김영순(1992).“왜 다시 그람시인가”.『사회평론』.
김용찬(2003).“미국의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에 나타난 정치이론의 의미와 역할”.『미국학』.
김정기(1992).『새 PR원론』.탐구당.
김정현(2006).『설득커뮤니케이션의 이해와 활용』.커뮤니케이션북스.
노상채(2008).『속담 속의 경제학』.글누림.
부성필(2011.12.11.).넛지효과의 기적, “예술 쓰레기봉투를 아시나요?”. 『노컷뉴스』.
서은아(2007).“공익광고에 나타난 언어적 특징 연구”.『한말연구』.
성동규,라도삼(2000).『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한울아카데미.
안은진(2013.12.4.). 넛지 디자인, 마음을 움직이는 부드러운 설득,『카이스트신문』.386호.
우창빈(2013).“행복을 추구하는 행복정책은 가능한가?:행복을 목표로 하는 공공정책의 이론,논란,가능성과 조건들”.『행정논총』.제 51권 제 2호
유재웅(2014).『정부 PR』.커뮤니케이션북스.
윤평중(1999).“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의 한국적 의미”.『철학연구회』.
이규상 & 홍훈(2009),“자유온정주의와 자유방임주의”,『경제학총론』,제 57집 제 3호.
이근식(2007).『자유주의와 한국사회』.철학과 현실사.
이재민 & 김은미(2012).『브랜드경영심리(소통과 공감의 행동경제학)』. 한국지식개발원.
이종혁(2010).『PR을 알면 세상이 열린다-PR로 평하는 세상 이야기』. 커뮤니케이션북스.
이현수(2013.8.21.).왜 이직하면 전 직장이 그리워질까?.『매일경제』.
임동욱(2003).『설득 커뮤니케이션의 이해』.커뮤니케이션북스.
장을병(1989).『정치적 커뮤니케이션론』.명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