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치관 높이 공간 (CHS)
치관높이 공간은 수직적 캔틸레버의 역할을 수행한다. 우측의 보철물은 좌측과 비교할 때 임플란트에 좀 더 큰 응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때에는 폭경이 굵은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임플란트 보철물을 지지하는 측면에서 장점이 많다.
☞ 골 흡수에 따른 가용골 높이 감소
Fixture에 가해지는 힘은 치조정골 상부에 집중되므로 임플란트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큰 효과 없음
→ 식립 개수를 증가시켜야 함
과거의 치료 계획은 골량이 풍부한 곳에서 임플란트를 좀 더 많이 식립하고 골량이 부족한 부위에서는 임플란트를 적게 식립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골 높이가 감소하면서 치관 높이는 증가되고 이와같은 치료법은 불량한 역학을 만들게 된다.
치관높이는 수평 캔틸레버 혹은 어떠한 측방 하중이 가해질 때 힘 증폭기로 관여하게 된다. 따라서 가용골 높이가 감소하면 좀 더 많은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캔틸레버 길이를 줄여주어야 한다.
참고자료
· Treatment planning of implants in posterior quadrants. S. Jivraj and W. Chee, BRITISH DENTAL JOURNAL 2006
· Treatment planning of implants in the aesthetic zone. S. Jivraj and W. Chee, BRITISH DENTAL JOURNAL 2006
· Optimizing esthetics for implant restorations in the anterior maxilla; anatomic and surgical considerations. Buser D et al.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
· Outcome analysis of implant restorations located in the anterior maxilla; a review of the recent literature. Belser UC et al.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2004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