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서번트 리더의 역할
1) 서번트 리더는 자신을 서번트(servant) 또는 지원자(supporter)로 인식한다.
2) 서번트 리더는 늘 학습하는 태도를 보인다.
3) 서번트 리더는 경청한다.
4) 서번트 리더는 권한위임을 통해 리더십을 공유한다.
3. 서번트 리더십 실천 인물
1) 켄 브랜차드
2) 스티븐 코비
3) 맥스 디프리
본문내용
로버트 그린리프(Greenleaf, 1970)는 서번트 리더십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서번트 리더는 가장 먼저 자신이 서번트라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것은 사람이란 누구나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고자 하는 인간 본연의 감정을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비롯된다. 진정한 리더는 먼저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는 가운데 그들을 이끌어 간다. 현재의 리더가 서번트 리더인지를 검증하려면 먼저 리더의 지원을 받고 있는 부하들이 인격적으로 성숙해 가는지, 보다 건전하고 현명해지며, 자유로워지는지, 보다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지, 그리고 부하들 스스로 서번트 리더로 성장해 가는지를 분석해 보아야한다.
이처럼 서번트 리더십은 먼저 다른 사람을 서빙(Serving)하는 가운데 그들에게 영향력을 발휘하는 리더십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린리프에 의하면 서번트 리더가 부하를 서빙하고 섬길 때, 섬기는 기준이 명확하다. 그 기준은 부하의 성공과 성장이라는 관점에서 찾을 수 있다. 즉 서번트 리더는 다른 사람의 성공과 성장을 먼저 도와주는 가운데 그들을 이끌어 간다. 서번트 리더에게는 부하의 성공과 성장이 리더십 발휘를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이다. 조직에서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들의 업무관련 성장욕구를 찾아 이를 먼저 해결해 주기 위하여 노력하며 필요한 자원을 강화하는 가운데 이들을 전체 조직의 목적을 향해 이끌어 가는 리더십 행위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번트 리더의 최우선 관심사항은 리더로서 자신이 어떻게 부하들을 서빙할 때 그들의 효율이 가장 높을 것인가에 있다. 그래서 서번트 리더는 먼저 다른 사람들의 성장욕구가 무엇인지를 살피고 그들이 업무현장에서 그 욕구를 최대한 실현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서번트 리더는 조직원들의 목표달성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서번트 리더는 자신의 리더십 성과를 기존의 지시-통제 또는 관리 중심의 리더와는 다른 관점에서 접근한다. 서번트 리더는 조직의 목표달성에만 만족하지 않고 조직의 목표달성과 함께 이에 동참하는 부하들의 개인적 성장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며 자원한다. 왜냐하면 부하들이 성장할 때 목표를 보다 탁월하게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