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역의 인구감소 문제
- 최초 등록일
- 2017.12.05
- 최종 저작일
- 2016.03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및 개념적 고찰
1) 선행연구 검토
2) 과소화의 개념
3. 우리나라의 인구 과소화 지역
1) 예천군 인구 과소화 실태
2) 예천군 인구 과소화 대책방안
4. 결론
본문내용
2016년을 기준으로 대한민국 인구는 약 5100만 명에 달하는데 이 인구의 91.79%가 도시에 거주하고 있다. 이는 대도시에 많은 인구가 집중되면서 과밀화 문제를 겪고 있다는 의미인데, 반대로 생각해보면 농촌지역에는 10%도 되지 않는 인구가 거주하는 과소화 문제를 겪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도시지역의 과밀화 문제에 대해서는 주차공간이 부족해지고 교통체증이 심화되며 각종 공해를 겪는 등 교과서나 인터넷 뉴스만 찾아봐도 손쉽게 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데 과소화 문제는 그에 비해 사람들이 문제의 심각성을 미약하게 느끼는 것 같다.
앞으로 대한민국에서 20세기 말처럼 인구가 급증하는 현상은 가까운 미래에는 없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인간을 위협하는 것으로부터 안전하게 지낼 수 있는 각종 기술들이 좋아지고 기대수명이 늘면서 노령인구는 증가하여도 출산율은 매우 저조하기 때문이다. 자연적인 증가로 농촌인구의 증가가 거의 가능성이 없다고 본다면 농촌지역의 과소화 문제에 대한 해결방법은 도대체 어디서 강구해야 하는 것일까? 이 리포트에서는 과소화 문제에 대한 심각성과 그 해결방안에 초점을 둘 것이다.
주변에 있는 농촌지역 거주자 지인들과의 대화를 통해 농촌지역의 과소화 문제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우선, 많은 인구가 집중된 대도시에 각종 인프라와 교육, 경제, 사회적 측면으로의 서비스가 집중되면서 심각한 농촌지역에는 군내에 편의점이 1개 밖에 없고, 학교가 1개 밖에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고 하소연한다. 또한 장을 보러 대형마트를 가려면 주변의 다른 시로 가야하는 불편함을 느껴야 했고, 치킨집이 없어 치킨을 사먹으려면 30분이 넘게 걸리는 거리에 있는 가게에 가서 사와야 한다고 말했다. 지인의 말은 도시와 농촌의 생활라이프에서도 많은 격차가 있다고 느끼기에 충분했다.
과소화 문제에 대해서 흥미를 가지게 된 것은 전공 강의 시간 때 교수님이 말씀해주셨던 내용 때문인데, 평상시에 농촌에 대해서 그저 인구가 적은 지역이라고만 생각했지만 그러한 결과가 어떻게 나타났으며, 이 결과가 또 다시 어떠한 원인을 초래하게 되는지에 대해서는 깊게 생각한 적이 없었기에 이번 기회로 과소화 문제에 대해서 더욱 깊게 알고 넘어가고자 하는 취지에서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이보현, 2007, 지방중소도시 인구 과소화 대책 연구 - 경상북도 안동시를 사례로 -
박용진, 2004, 과소화 농촌지역의 중심기능 변화
강유경, 2004, 일본 농촌사회의 과소화에 대한 연구
나영성, 2003, 농촌 초등학교의 소규모화에 따른 교육주체들의 학교 유지 발전 사례 연구
장재우, 1999, 농산촌의 과소화에 관한 연구
이원섭, 1993, 중소도시의 육성정책,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신정철 외, 2004, 지방중소도시 활성화 방안 연구
하상근 외, 2005,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인구증감에 관한 연구
예천군 통계연보
네이버 지도
토목용어사전, 토목관련용어편찬위원회, 1997. 2. 1. 도서출판 탐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