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이염이란?
초기 아동기에 많은 질환으로 3세 까지 약 80%의 아동이 한번씩 앓게 되며 학령전기 남아가 여아보다 발생 빈도가 높으며 겨울철에 주로 많이 감염되는 질환이다.
병태생리
이관의 기계적 또는 기능적 폐쇄로 중이의 분비물이 축적되는데 감염이나 알러지로 인한 내인성 폐색, 아데노이드 비후나 비인두 종양으로 인한 외인성 폐색이 원인이 된다.
음식을 삼키는 동안은 기능성 폐색이 일어난다.
이관의 폐색으로 공기가 흡수되면 음압이 형성되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 삼출물이 생긴다. 음압 상태는 배액과 이관 안의 섬모운동을 저해한다.
이관이 완전 폐색된 상태가 아니라면 울거나, 재채기, 코를풀거나 삼킬 때 역류, 흡인 등이 생겨서 이관이 감염된다.
원인
-가장 흔한 원인균은 Streptococcus pneumoniae, Hemophilus influenza, Moraxella catarrhalis이다.
-비감염형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인한 부종으로 비후성 아데노이드에 의한 유스타키오관의 폐쇄와 관련이 있다.
-중이염의 발병률과 영아수유 유형간의 관계가 알려져 있으며, 모유수유아가 분유수유아보다 중이염의 발병률이 더 낮다. 모유는 면역글로불린을 함유하고 있어 병원체나 이종 단백에 대한 유스타키오관과 중이점막의 노출을 제한해 모유수유아는 영아를 호흡기바이러스와 알레르기부터 보호해준다.
임상증상
화농성 분비물이 중이에 축적되고 압력으로 인해 통증이 유발된다.
영아는 보채고 자기 귀를 잡아당기거나 머리를 비비게 된다.
고열이 나며 귀 뒤쪽과 임파선이 붓게 된다.
콧물, 구토, 설사 그리고 호흡기나 인두 감염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식욕감퇴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빨거나 씹게 되면 통증이 더 유발된다.
삼출성 중이염이 있는 경우는 삼출물이 쌓이고 압력이 증가면서 고막이 터질 수는 있으나
심한 통증이나 열은 별로 없다.
중이에 무언가 차있는 느낌이 있으며 음식을 삼킬 때 펑하고 뚫리는 느낌과 삼출물위에 공기가 있을 때는 무언가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이 있게 된다.
참고자료
· 최신아동간호학 II 수문사 1591~1595p
· 가족중심의 아동간호학 현문사
· 서울대학교 의학정보원
· 김희순 외(2013). 아동청소년 간호학Ⅰ. 경기: 수문사.김희순 외(2013). 아동청소년 간호학Ⅱ. 경기: 수문사
· 최신아동간호학 II 수문사 1585~1586p
· 서울대학교 의학정보원
· 최신아동간호학 II 수문사 1586~1587p
·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출처
· 소아과진료 .고려의학. 제7판. 향린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