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목적
TTL 및 CMOS 소자의 슈미트 트리거 게이트를 다른 게이트들과 비교해 보고,
그 동작 특성 및 응용에 대하여 살펴본다.
2. 실험이론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디지털 시스템은 변화할 때 바로 변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상태를 거치게 된다. 이 변화하는 중간상태에서 한번 회로가 오작동을 하게되면 그 상황 자체가 전력 소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중간상태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으며, 이 때 쓰이는 소자가 슈미트 트리거이다.
◎ 슈미트 트리거
위의 그림은 가장 기초가 되는 트리거 회로로서 입력이 “1”로 인식되는 경계값을 넘게 되면, 출력이 “1”이 되면서 귀환 저항 R2를 통해 전류 I0가 흐르게 되는 구조이다.
슈미트 트리거는 “1”로 인식하는 경계 전압준위와 “0” 으로 인식하는 경계 전압준위가 정해진 값만큼 차이가 나는 소자로서, 이 경계값에서 급격하게 변화가 일어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중간사태가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되며, 또 “1” 로 인식하는 경계값과 “0”으로 인식하는 경계값이 달라서, 특정 경계값 ......<중 략>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