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이제현의 역사인식

"이제현의 역사인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7.11.16 최종저작일 2017.11
7P 미리보기
이제현의 역사인식
  • 미리보기

    목차

    1. 머리말
    2. 이제현의 정치활동
    3. 원 간섭기 사대부의 대외인식
    4. 이제현의 역사관
    (1) 불교 및 전통사상에 대한 인식
    (2) 春秋의 역사관 강조
    5. 맺음말

    본문내용

    원 간섭기 고려는 국왕의 측근세력과 부원세력의 등장으로 파행적 정국운영이 지속되면서 정치적인 모순은 물론 사회경제적 모순까지 심화되고 있었다. 물론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개혁이 실시되었지만, 이는 기존 체제를 유지하는 선인 소극적인 수준에 머물렀고 근본적인 해결과는 거리가 멀었다.
    이제현은 충선왕대 이후 공민왕대에 이르는 원 간섭기에 활동했던 유학자로 당시 고려사회의 성리학 수용과 관련해 중요한 인물로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었다. 특히 정치활동 전면에서 고려와 원 사이의 대내외적 문제를 해결하려 했고, 그 과정에서 남긴 현실인식과 역사관에 대해 문집으로 남겨놓아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그가 쓴 史書 가운데 현재 남겨진 것으로는 고려 태조 ~ 숙종에 이르는 국왕의 치세와 정치의 득실을 논한 史贊과 태조에서 충숙왕까지 국왕의 치적을 남긴 忠憲王世家, 고종대 김취려가 원과 연합하여 거란을 막아낸 기록인 金公行軍記, 그리고 櫟翁稗說이 있다.
    지금까지 이 시기의 역사관에 대한 연구는 李承休, 李齊賢, 李穡 등의 인물들과 그들이 남긴 史書를 통해 이뤄졌다. 특히 원 간섭기의 역사관과 대외관에 대한 연구에서 이제현은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데, 김철준이 이제현의 성리학적 역사관에 대해 제기한 이후로 다양한 방향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대체로 이제현의 성리학적 역사관과 이전시기와의 차별화된 春秋의 역사관을 강조했다는 점에서는 일치하고 있으나, 그의 대외인식에 대해서는 이제현이라는 개인만을 놓고 평가해서인지 약간의 이견을 보이고 있다. 또한 사대와 자주를 동일선상에 놓고 대비되는 개념으로 파악해서 평가가 엇갈리고 있는 편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제현 본인만을 놓고 대외관을 파악하기보다 동 시대를 살고 있는 다른 초기 성리학자들과 같이 대비하여 파악한다면 이들이 원 간섭기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내정간섭과 國俗에 대해 어떠한 입장을 취하고 있었는지 확연히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이점에 염두하여 먼저 이제현의 역사관을 파악하는데 있어 그의 정치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가 정치활동을 하면서 어떠한 측면의 목표를 두고 역사를 서술하고자 했는지 목적이 드러날 것이다.
    두 번째로 이제현 뿐만 아닌 당대의 성리학자들의 대외관, 즉 원 중심의 세계질서와 고려의 위치를 어떻게 규정짓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려한다. 이를 통해 기존 이제현의 대외관이 사대와 자주라는 이분법적 요소로 규정짓는 것에서 벗어나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려 한다.
    세 번째로 그의 역사서술에서 나타나는 불교와 전통사상에 대한 인식과 그의 서술에서 보여지는 春秋의 역사관을 살펴보고 그의 성리학적 지식의 수준과 어떠한 목적에서 역사를 서술하고 있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한다. 역사는 서술하는 史官의 인식에 따라 서술방법과 방향이 달라진다. 그렇기에 이를 통해 이제현의 역사관과 당대의 사회인식을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참고자료

    · 金哲埈, 1967 「益齋 李齊賢의 史學에 對하여」 東方學志8.
    · 河炫綱, 1975 「高麗時代의 歷史繼承意識」 梨花史學硏究8.
    · 金泰永, 1977 「高麗後期 士類層의 現實認識」 창작과비평12-2.
    · 閔賢九, 1981 「益齋 李齊賢의 政治活動 -恭愍王代를 中心으로-」 震檀學報51.
    · 鄭求福, 1981 「李齊賢의 歷史意識」 震檀學報51.
    · 金相鉉, 1985 「高麗後期의 歷史認識」 韓國史學史의 硏究, 乙酉文化社.
    · 卓奉心, 1988 「李齊賢의 歷史觀-그의 ‘史贊’을 中心으로-」 梨花史學硏究17ㆍ18.
    · 河炫綱, 1989 「李承休의 史學思想硏究」 東方學志69.
    · 전병무, 1993 「고려 충혜왕의 상업활동과 재정정책」 역사와 현실10.
    · 정인재, 1993 「元代의 朱子學-元儒의 道統意識을 中心으로」 원대 주자학, 포은사상연구원.
    · 도현철, 1994 「14세기 전반 유교지식인의 현실인식」 14세기 고려의 정치와 사회, 민음사.
    · 高惠玲, 1996 「목은 이색의 사승과 교유관계」 牧隱 李穡의 生涯와 思想, 一潮閣.
    · 閔賢九, 1996 「高麗後期 安東權氏 家門의 發展 -元干涉期의 政治的 位相을 中心으로-」 道山學報5.
    · 申千湜, 1998 「李齊賢의 學問과 思想」 明知史論9.
    · 馬宗樂, 2000 「元 干涉期 益齋 李齊賢의 儒學思想」 한국중세사연구8.
    · 김인호, 2001 「이제현의 정치활동과 역사인식」 실학사상연구19ㆍ20.
    · 이익주, 2001 「14세기 전반 성리학 수용과 이제현의 정치활동」 典農史論7.
    · 金炯秀, 2002 「策問을 통해 본 李齊賢의 現實認識」 한국중세사연구13.
    · 이익주, 2003 「14세기 유학자의 현실인식과 성리학 수용과정의 연구 -민지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49.
    · 채웅석, 2003 「원간섭기 성리학자들의 화이관과 국가관」 역사와 현실49.
    · 최봉준, 2008 「李齊賢의 성리학적 역사관과 전통문화인식」 한국사상사학31.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4월 2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