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세 여대생
23세 남자 대학생
18세 남자 고등학생
25세 남자 대학생
24세 여성 유치원교사
24세 남자 대학생
목차
1. 해석 방향 설명
2. CODE TYPE 해석
3. 개별 사례 : MMPI, HTP, 통합 해석
4. MMPI를 실시하고 느낀 점
5. HTP를 실시하고 느낀 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해석 방향 설명
MMPI와 그림 검사를 사례 별로 해석한 후 그 결과를 통합적으로 연결
T65점 이상의 단일 척도 or 동반 상승 척도를 필요로 하는 CODE TYPE 해석 불가능
→ 따라서 유의미한 개별 척도 해석 수행
타당도 척도가 특별한 의미를 지니지 않는 경우 설명 생략
CODE TYPE 해석 ?
척도들을 코드 유형으로 결합, 산출한 후 해석하는 방법
코드 유형 내의 척도는 순서를 구별 X
각 척도들이 원래의 척도명이 의미하는 진단적 범주들을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있음
다양한 척도들 간의 관계는 중요한 진단적, 해석적 정보 제공
<중 략>
24세 남자 대학생-통합해석
실제로는 약간 내성적이며, 초반 대인관계를 만드는데 노력이 필요한 편임.
타인에게 좀 더 완벽하게 보이기를 원하며,타인에 시선에 예민하지만 자신에겐 문제가 없고 자기의 환경이 적절하다며 이를 편한 상태라고 여김. – 자각에 대한 의문
참고자료
· 다면적 인성검사 (김중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미술치료기법 (최외선 외, 학지사, 2006)
· 그림을 통한 아동의 진단과 이해 (신민섭 외, 학지사, 200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